논문 상세보기

전라남도 고흥지역에 분포하는 주상절리에 관한 연구 KCI 등재

A Study of Columnar Joint in Goheung, Jeollanam-do,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139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6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전라남도 고흥지역에는 도화면 유주산 지역, 팔영산 지역 그리고 용바위 지역의 세 지역에서 주상절리가 발달한 다. 유주산 지역에는 폭 최대 100 m, 높이 최대 50 m 규모로 수직방향과 부채꼴 모양의 주상절리가 발달한다. 유주산 근처의 도로변과 지죽도 해안에도 주상절리가 발달한다. 팔영산 지역에서는 기둥면의 폭이 최대 1 m에 달하는 굵은 주 상절리가 발달한다. 용바위 지역은 암맥 내에서 지표면과 수평한 최대 폭 50 cm의 주상절리가 발달한다. 이 지역 주상 절리의 4각형과 5각형이 높은 빈도를 차지한다. 기둥면의 폭은 10-100 cm 범위이지만, 20 cm가 최대 빈도율을 보인다. 유주산과 팔영산 지역에서 주상절리는 냉각면인 지표와 수직으로 발달한다. 용바위지역에서 주상절리는 관입한 주변암 과의 접촉부와 수직으로 발달한다. 결과적으로 이지역의 주상절리는 주변암의 경계부로부터 냉각이 시작되어 접촉면과 수직한 주상절리가 발달한다. 본 주상절리를 구성하는 암석은 유주산과 팔영산 지역에서 유문암질 용결응회암이고, 용 바위의 암맥을 이루는 암석은 데사이트이다. 산성화산암에는 유상구조가 잘 발달되어 있으며, 육안상 2 mm 정도의 백 색 반정광물은 대부분 장석이고, 일부 석영을 포함한다. 주상절리를 구성하는 암석의 SiO2 함량은 모두 70wt.% 이상이 며, 칼크알칼리계열의 분화 마지막 단계이다. 유주산지역 주상절리는 채석장에서 동쪽으로 약 1 km 이상 분포하는 것으 로 예상된다.

The columnar joints in Goheung are developed in three places of Yuju-san area, Palyeong-san and Yongbawi area. Vertical and fan-shaped columnar joints which have maximum width 100 m and maximum heigh 50 m are developed in the Yuju-san area Columnar joints are developed next to the road near the the Yuju-san and along the coast of Jijuk-do. Thick columnar joints of maximum width 1m are developed in the Paryeong-san area. Horizontal columnar joints of maximum width 50 cm at length of polygon side are developed on dyke in the Yongbawi area. The columnar joints show high rate of rectangles and pentagons in the number of polygons. The length of polygon side of columnar joints in study area ranges from 10 to 100 cm, and 20 cm among the range appears in high frequency. Columnar joints are developed vertically to the ground from the cooling surface in Yuju-san and Palyeong-san area. Columnar joints in Yongbawi area are developed vertically to the contact of country rocks. As a result, the columnar joints began cooling from the country rock contact. And columnar joints are developed vertically to contact surface. The rocks in columnar joints is rhyolitic welded tuff in Yuju-san and Palyeong-san area, dacite in Yongbawi area. In the acid volcanic rocks flow structure well developed. The white phenocryst mineral about 2 mm size by eye, is usually feldspar, and includes some quartz. The rate of SiO2 is 70wt.% or more. It is the last stage of differentiation to calc-alkaline series. The columnar joints of the Yuju-san area are expected to be distributed along a band that extends to about 1km east of the stone pit.

목차
서 론
 연구지역 지질
 주상절리의 형성과 형태
 주상절리의 분포
 주상절리 암석화학
 주상절리 형태 분석
 연구지역 주상절리의 형성 메커니즘
 결 론
 References
저자
  • 손정모(조선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61452, 광주광역시 동구 필문대로 309) | Jeong-Mo Son
  • 안건상(조선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61452, 광주광역시 동구 필문대로 309) | Kun Sang Ah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