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국 제주 연안의 암반 형태 차이와 저서생물 군집구조 KCI 등재

Rock type difference and Benthic Community Structures in the coast of Jeju,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141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5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제주 연안 저서생물(해조류, 무척추동물)의 군집구조가 저서 기질 형태에 따른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신흥해역에서 2015년 2월부터 11월까지 매월 조사되었다. 암반정점에서는 해조류 57종과 무척추동물 102종이 출현하였고, 몽돌정점 에서는 해조류 42종과 무척추동물 67종이 관찰되어 암반기질에서 저서생물의 출현종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해조 류의 연평균 생물량은 암반정점에서 1,601.13 g wet wt./㎡으로 몽돌정점의 448.85 g wet wt./㎡보다 약 4배 높았다. 감태는 암반정점에서 전체 생물량의 62.64% (1,002.93 g/㎡)를 차지하는 우점종이었고, 몽돌정점에서는 넓은게발, 감태, 붉은뼈까막살, 자루바다표고, 갈래곰보가 우점하였다. 저서무척추동물의 개체수 및 생물량은 암반정점에서 각각 106.9 indivi./㎡, 871.93 g/㎡이며, 몽돌정점에서는 64.6 indivi./㎡, 984.28 g/㎡로 나타났다. 무척추동물의 생물량 우점종을 파악한 결과, 암반정점에서는 소라(36.40%), 바퀴고둥(19.18%), 보라성게(13.61%)였고, 몽돌정점에서는 거 품돌산호(54.13%)와 그물코돌산호(24.28%)로 기질에 따른 우점종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Effects of substrate types (bedrock and boulder habitat) on the community structures of benthic biota (macroalgae, macrobenthos) were monthly examined at Sinheung in Jeju Island, Korea, from Feb. to Nov. 2015. Species diversity of seaweeds and macrobenthos was greater at bedrock sites with 57 and 102 species than at boulder sites having 42 seaweeds and 67 macrobenthos. Average annual biomass of seaweeds was 1,601.13 g wet wt./㎡at bedrock site and 448.85 g wet wt./㎡at boulder site. Ecklonia cava was the most dominant species, occupying 62.64% (1,002.93 g/㎡)of total biomass at bedrock. Amphiroa anceps was the most dominant species and subdominant species was Ecklonia cava, Grateloupia angusta, Peyssonnelia capensis and Meristotheca papulosa at boulder site. Density and biomass of macrobenthos were estimated to be 106.9 indivi./㎡and 871.93 g/㎡, respectively at bedrock site and they were 64.6 indivi./㎡ and 984.28 g/㎡at boulder site. The dominant macrobenthos species based on biomass were Turbo comutus (36.40%), Astralium haematragum (19.18%) and Anthocidaria crassispina (13.61%) at bedrock site and they were Alveopora japonica (54.13%) and Psammocora profundacella (24.28%) at boulder site.

목차
서 론
 연구방법
  1. 해양환경조사
  2. 저서생물 채집 및 분석
  3. 군집지수
 결 과
  1. 해양환경특성
  2. 해조류
  3. 무척추동물
 고 찰
 REFERENCES
저자
  • 김보연(국립수산과학원 제주수산연구소) | Bo Yeon Kim
  • 고준철(국립수산과학원 제주수산연구소) | Jun-Cheol Ko
  • 최한길(원광대학교 생명과학부/환경과학연구소) | Han Gil Choi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