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계측 센서를 활용한 PSC 거더 텐던의 긴장력 측정 실험 KCI 등재

Experimental Evaluation of Prestress Force in Tendons for Prestressed Concrete Girders using Sensor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156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전산구조공학회 논문집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한국전산구조공학회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초록

프리스트레스(PS) 긴장재의 긴장력 관리는 거더 성능관리에 있어 매우 중요한 항목이나 현재는 시공시 설계 긴장력의 도입 여부만을 검증한 후 공용시에는 그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PSC 거더의 제작단계에서부터 공용시까지 생애주기 동안의 긴장력 관리가 가능한 PSC 거더를 제안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현재의 기술수준으로 사용 가능한 센서들을 이용하여 PS 긴장력을 측정하는 실험 연구를 수행하였다. 소규모 거더를 제작하여 4종류의 센서를 설치하였고, 긴장력을 도입하면서 각 센서들의 적용성과 정확성을 평가하였다. 실험결과에 따르면, 중공로드셀은 편심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기준값보다 하중을 높게 평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EM 센서는 실용이 가능한 정확도를 보여주었으며, 콘크리트 내부의 긴장재를 따라 어느 위치에서도 설치할 수 있다.

The prestressing force has not been managed after construction nevertheless it is one of the importrant factors that maintain the structural safety of PSC girder bridges. The prestressing force is just measured during construction using jacking device and after that, it can not be managed practically. For this reas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asurements of prestress using embedded sensors that can be available now with an ultimate goal to propose smart prestressed girders that can measure the prestress from the birth to the end of service life. 4 types of sensors were installed on the small prestressed girders, and the applicability and the accuracy of those sensors were tested while the prestress was applied to the girders. The results show that a center-hole type loadcell has a tendency to measure a prestressing force higher than a reference value, especially when it is loaded with an eccentricity. a EM sensor shows several advantages that has a good practical accuracy, that can be installed anyplace along the tendons.

저자
  • 신경준(충남대학교 토목공학과,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Chungnam National Univ.) | Kyung-Joon Shin
  • 김윤용(충남대학교 토목공학과,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Chungnam National Univ.) | Yun Yong Kim
  • 박영웅(부경대학교 토목공학과,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Pukyung National Univ.) | Young-Ung Park
  • 이환우(부경대학교 토목공학과,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Pukyung National Univ.) | Hwan-Woo Lee Corresponding author
  • 이성철(국제원자력대학원대학교 원자력산업학과, Department of NPP Engineering, KEPCO International Nuclear Graduate School) | Seong-Cheol 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