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모델축소법을 이용한 교각-차량 충돌변위 예측 및 직접충돌해석법과의 비교연구 KCI 등재

A Comparison Study of Model Reduction Method with Direct Impact Analysis of Truck-column Collis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156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전산구조공학회 논문집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한국전산구조공학회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초록

미국 AASHTO LRFD(AASHTO, 2012)나 국내의 도로교설계기준(2012)의 차랑충돌에 대한 교각설계기준을 참조하면 교각 설계 시 차량충돌에 대해 정적인 하중을 고려하도록 제시하고 있다. 한편 2003년 미국 네브래스카 주에 트럭이 교각에 충돌하여 교각 및 교량 상부구조가 붕괴되는 사고가 발생하는 등 차량충돌에 의한 교량붕괴사고는 홍수에 의한 교량붕괴사고에 이은 두 번째 요인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화물차량의 대형화와 도로시스템의 개선으로 인하여 이러한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중가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각 설계시 차량충돌에 대한 동적 해석을 수행하게 되면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어 실용적인 측면에서 연구결과가 쉽게 반영되지 못하고 있으므로 충돌해석 비용과 시간을 저감할 수 있는 모델축소법(model reduction)을 이용한 해석방법을 개발하였으며 그 효용성을 최종변위에 대해 직접충돌해석결과와 비교함으로써 평가하였다.

Current design codes such as AASHTO LRFD or Korean Highway Bridge Design Code recommend of using static force for designing bridge column against vehicle collisions. However, there was an accident that the bridge was collapsed shortly after vehicle impact on bridge pier in Nebraska(near Big Spring, 2003). It was found that the second largest cause of bridge collapse is collision after hydraulic causes. It can be thought that the possibility of truck-bridge collision are getting increasing as the size of truck increases and traffic condition are becoming improved. However, dynamic behavior under the impact loading seldom considered in bridge design procedure due to computational cost and time. In this study, in order to reduce the computational cost for dynamic impact analysis, model reduction method was developed. Obtained results of residual displacement were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direct impact simulations.

저자
  • 이재하(한국해양대학교 건설공학과,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Korea Maritime and Ocean University) | Jaeha Lee
  • 김경진(한국해양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Korea Maritime and Ocean University) | Kyeongjin Kim
  • 정유석(충남대학교 토목공학과,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Yoseok Jeong
  • 김우석(충남대학교 토목공학과,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Wooseok Kim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