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국회의원 선거 결과의 공간 패턴 변화 분석: 19대 및 20대 국회의원 선거를 중심으로 KCI 등재

Analysis on the Changing Spatial Patterns of National Assembly Election Results: Focusing on 19th and 20th Election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1678
  • DOIhttps://doi.org/10.16879/jkca.2016.16.3.02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400원
한국지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한국지도학회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초록

우리나라의 국회의원은 대부분 선거구 단위로 선출되기 때문에 선거는 지리학의 주요 관심대상이 된다.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수도권을 사례지역으로 하여 19대 및 20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에서 나타난 공간 패턴의 변화 양상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읍면동 단위의 지역구 및 비례대표 선거 결과 데이터에 대해 공간통계 분석을 수행하였는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구와 비례대표 모두 여당의 득표율이 상당히 줄었지만, 양당 기준 하에서의 여당의 총 득표율, 그리고 최다득표동의 수 및 득표율은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각 시점 별 여당 득표율의 공간 군집성을 분석한 결과 읍면동 단위가 선거구 단위에 비해, 비례대표 선거가 지역구 선거에 비해 더 강한 공간 군집성을 보였다. 서울 남동부 및 경기도 외곽에서 득표율이 높은 반면 서울의 여타 지역 및 서울 인접 지역에서는 득표율이 낮은 패턴이 대체로 유지되면서 시점 간에 전역적인 공간 군집성은 큰 변화가 없었으나 국지적으로는 지역구와 비례대표 모두 다소 간의 변화가 나타났다. 셋째, 두 시점 간의 여당 득표율의 공간적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대체로 정치적 성향을 유지하는 경향이 우세하였다. 읍면동 기준으로 약 30%는 공간 군집을 이루면서 정치 성향을 유지하는 경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득표율의 변화가 발생한 지역 또한 강한 공간 군집성을 나타내었다

Election is one of important interests in geography because the members of National Assembly of Korea are elected mainly in spatial unit, which is called Election Distri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hanging spatial pattern between the 19th and the 20th National Assembly Elections in South Korea. For this purpose, spatial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to explain the results of the elections in Eup-Myeon-Dong units through out the Capital Region and the study offers three primary findings. First, in general, the voting rate for ruling party decreased in both Local District Election and Proportional Representation Election, which comprise the National Assembly Election. However, considering only two main parties, the total vote rate of the ruling party, and the number and the vote rate in Eup-Myeon-Dong units where the percentage of votes for the ruling party is the highest, did not have significant change. Second, the results of the spatial cluster analysis indicated a strong pattern of spatial clustering in the Eup-Myeon-Dong units than that of election district units. Similarly, the proportional representation election outcomes showed a stronger spatial clustering than those in the local district election.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bivariate spatial association analysis between two periods, 30% of Eup-Myeon-Dong units are found to adhere to the prior political inclination, while the regions with change in vote rate of the ruling party also showed a strong pattern of spatial clustering.

저자
  • 이소영(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 | Soyoung Lee
  • 조대헌(가톨릭관동대학교 지리교육과 조교수) | Daeheon Cho
  • 전창우(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과정) | Changwoo Jeon
  • 주뢰(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 | Lei Zh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