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내러티브에 의한 자아형성 탐색 KCI 등재

Self-making as the Product of Self-telli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1684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Journal of Narrative and Educational Research)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Narrative Education)
초록

‘내러티브로서 자아’란 내러티브를 사용함으로써 자아가 만들어 진다는 것을 의미한 다. 이는 내러티브를 사용함으로써 우리의 존재가 하나의 전개되는 이야기로 통합됨을 의미한다. 내러티브는 역사적으로 여러 전환점들을 통해 개념을 형성하고 자신의 학문 적 논리를 갖게 되었다. 내러티브는 역사적 변천을 거쳐 각 시대의 특징적인 모습을 함 축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네 가지 특징: ‘드라마주의’, ‘관점주의’, ‘전환점’, ‘균형잡기’ 를 확인하고 이른 자아 이야기 구성 과정으로 제시하였다. 이 네 가지 개념은 이야기의 내용이 아니라 이야기하는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내러티브로서 자아란 이야기 구성을 통해 자아가 형성됨을 말한다. 따라서 어떻게 자아 이야기를 하는가는 자아 형성에서 성 패의 관건이 될 수 있다.

This paper identifies the key concepts for self story making. The key concepts are as follows: Dramaticism, Perspective, Turning-Point, and Balancing Act. ‘Dramaticism’ means the impetus to narrative. What drives a story is a misfit between the elements of the so called Burk's dramatic Pentad: Agent, Action, Goal, Means, and Setting. ‘Perspective’ implies that stories are always told from a particular perspective. Self story too cannot escape the perspective that dominates its narrative telling. ‛Turning Point’ in life shows itself when one reach impasses: bored and discontented and so on. One can conceive turning point in one's self telling as like a self-generated Peripeteia, one's previously coping with trouble having now generated trouble of its own. A self-making narrative is something of a ‘Balancing act’. It must, on the one hand, create a conviction of autonomy, that one has a will of one's own, a certain freedom of choice, a degree of possibility. But it must also relate the self to a world of others-to friends and family, to institute, to the past, to reference groups. Self-making through self-narrating is restless and endless dialectic process, a balancing act.

저자
  • 한승희(공주교육대학교) | Seung-Hee H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