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포제방법에 따른 흰점박이꽃무지(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추출물의 항염 및 미백활성에 관한 연구 KCI 등재

Anti-inflammatory and Whitening Effects of 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Extracts by Oriental Conversion Method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2292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대한화장품학회지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대한화장품학회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초록

본 연구에서는 화장품 신소재 개발을 위해 한의약적 포제법을 적용하여 흰점박이꽃무지 추출물을 제조하 고 포제방법에 따른 항염 및 미백활성을 평가하였다. 모든 실험은 생(生), 1회 초법(炒法), 2회 초법(炒法), 3회 초법(炒法), 증법(蒸法)을 적용한 흰점박이꽃무지를 이용하였다. 각 포제법을 적용한 흰점박이꽃무지의 용매별 (80% 에탄올, 50% 에탄올,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추출물에 대한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은 각각 85.5, 22.4, 37.0 및 19.4%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이후의 실험은 항산화 활성 이 가장 큰 80%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였다. 포제법을 적용한 흰점박이꽃무지 추출물과 포제법을 적용하지 않은 추출물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항산화능을 나타냈으며, 500 μ g/mL 농도에서 포제법을 적용한 3회 초법 및 증법은 superoxide dismutase (SOD)-like 활성이 각각 62.9 및 55.9%를 나타냈다. Lipopolysaccharide (LPS)로 염증이 유도된 RAW 264.7 세포에 포제법을 적용한 흰점박이꽃무지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LPS를 단독으로 처리한 양성 대조군보다 포제법을 적용하지 않은 흰점박이꽃무지 추출물(38.0%), 1회 초법(41.0%), 2회 초법(69.8%), 3회 초법(70.1%), 증법(78.5%) 순으로 염증 매개물질인 NO・ 생성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 다. 세포 내 tyrosinase 저해 활성 및 멜라닌 생합성 저해 효과를 확인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tyrosinase 저해 활성 및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나타내었다. 포제하지 않은 흰점박이꽃무지 추출물은 500 μ g/mL 농도에 서 α-MSH만 처리한 대조군과 비교하여 멜라닌 생합성을 90.7% 감소시켰다. 이상의 결과들은 항염이나 미백 활성이 있는 화장품 소재 개발에 포제법을 적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

In order to find new functional materials for the cosmetics application, we investigated anti-inflammatory and whitening effects of the 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P. brevitarsis) extracts, which were prepared by the various oriental conversion methods, as follows; fresh, roasted one time, roasted two times, roasted three times, and steamed. 2,2-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the various solvent extracts (80% ethanol, 50% ethanol, ethyl acetate, hexane) of P. brevitarsis extracts were 85.5, 22.4, 37.0 and 19.4% respectively. The 80% ethanol extract with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was used for all experiments. In case of antioxidant activity test of the extracts, all the extracts showed the activities in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regardless of the sample preparation methods. Superoxide dismutase-like (SOD-like) activities of the extracts roasted three times and steamed were 62.9 and 55.9%, respectively in 500 μg/mL. Effects of extracts on the inflammation of RAW 264.7 cell induced by lipopolysaccharide (LPS) showed decreasing tendency of NO・ and prostaglandin E2 (PGE2) production; PBS fresh (38.0%), PBS roasted one time (41.0%), PBS roasted two times (69.8%), PBS roasted three times (70.1%), PBS steamed (78.5%). Intracellular tyrosinase and melanin biosynthesis inhibitory activities of the extracts were decreased in a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However, the fresh P. brevitarsis extracts without the oriental conversion method showed 90.7% decreas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reated with α-MSH alone at 500 μg/mL.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e oriental conversion method can be applied in development of cosmetic materials in order to improve anti-inflammatory and whitening effects of the cosmetics products.

저자
  • 성경아(서울과학기술대학교 정밀화학과 화장품종합기술연구소, 코스메틱 융⋅복합산업 지원 센터 (주)라비오 소재과학연구소) | Gyeong Ah Sung
  • 김미혜(서라벌대학교 장례서비스경영과) | Mi Hye Kim
  • 박수남(서울과학기술대학교 정밀화학과 화장품종합기술연구소, 코스메틱 융⋅복합산업 지원 센터) 주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