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내진 분리 베어링이 설치된 교량의 동적 거동 KCI 등재

Dynamic behavior of the bridge with seismic isolation beari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331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전산구조공학회 논문집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한국전산구조공학회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초록

국내의 설계지진은 상대적으로 작은규모 이지만 일점고정 연속교에 있어서는 지진시 교축방향의 고정지점에 상부구조의 모든 관성력이 집중됨에 따라 그 교각과 기초구조에는 상당히 큰 교축방향 수평력이 작용하게 된다. 기존의 교량의 내진설계 방법에서는 교각의 비탄성거동에 의존하는 수정응답계수를 사용하여 교각의 설계하중을 낮추어 설계에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교각의 비탄성거동으로 인한 손상과 그에 따른 큰 상부구조의 변위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내진분리베어링이 설치된 교량의 비선형 동적 방법을 제시하고 대표적인 내진분리베어링인 lead-rubber 베어링을 고정받침대신 사용하였을 경우 국내 설계 응답스펙트럼에 상응하는 지반운동하에서 교량의 응답특성을 살펴보았다. 내진분리베어링이 설치된 교량의 비선형 동적해석을 통해 1초이하 주기의 교량에 있어서 lead-rubber 베어링의 사용은 상당한 교축방향의 수평력 감소효과를 가져오며 상부구조의 수평변위도 그리 크지 않음을 보였다. 따라서 교량의 내진설계시 내진분리베어링의 사용으로 경제성과 내진안전성을 동시에 얻을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presents the nonlinear dynamic analysis method of the bridge with the seismic isolation bearing. Also the numerical analyses are performed for investigating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of the bridge isolated with the lead-rubber bearing under the ground motions compatible to Korea bridge design response spectra. It is found that the pier design force can be considerably smaller than the one for the bridge with the fixed bearing. It is observed that the lead-rubber bearing has the great effectiveness for reducing the longitudinal seismic force in case of the bridges with low and medium periods. Therefore the seismic isolation bearing can be used instead of the fixed bearing for the economic and safe design of the bridge.

저자
  • 전귀현(대영엔지니어링) | Juhm Gui Hy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