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Beam Transition Elements for Finite Element Analysis of Transition Regions of Coupled Wall Structures KCI 등재

병렬전단벽 구조물의 변환부분의 유한요소해석을 위한 보-변환요소의 개발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336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전산구조공학회 논문집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한국전산구조공학회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초록

본 연구는 拉列햇톰훨 .i훌빼의 훌훌훌B分의 효율적인 有限훌素흙析을 위한 보-윷換훌素 및 윷~部分의 요 소를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보-윷~훌훌는 보요소와 벽체요소사이의 변형 및 힘의 狗東條件을 근거로하여 보의 기본적인 거동을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平面應力훌素의 개념으로 대치된 유사보요소로 간주될 수 있으 며, 이는 뺏뺏部分에서의 보요소와 벽체요소사이의 서로 다른 自由度에 기인한 윷形의 不홉음性을 합리척으 로 해결해준다. 또한 보-윷뺏훌素와 직접 연결되는 윷換部分의 요소는 보-뺑換훌素의 경우와 동일한 狗束 條件이 적용됩으로써 윷~部分에 대한 효율적인 훌훌分훌j方훗을 제시해 준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 제시된 요소들은 기본적으로 i호 flJ Ji lfli훌 _i훌~ 뿐만아니라 보요소와 벽체요소의 相효作用이 고려되는 모든 구조물 에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This study presents the formulation of beam transition elements and transition zone elements for the effective finite element 없lalysis of the transition regions of coupled wall structures. Beam transition element can be described as the quasi beam element which is replaced by an equivalent plane stress element, keeping equally. the basic behavior of beam element. based on the kinematic 없ld force constraints between beam and wall element. These beam transition elements solve the incompatibility related to different degrees of freedom between beam and wall element in transition regions. Also. the stiffness matrices of transition zone elements which are directly connected with beam transition eleπεnts in transition regions can be derived from the equivalent constraint conditions. These elements provide the reasonable mesh grading schemes for transition regions and can be usefully applied to the transition regions of all structures that the interactions of wall and beam element are considered.

저자
  • Kim Ho-Soo(청주대학교 건축공학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