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Birth and Development of German Intercultural Education - The Exploration of Social Integration in Globalization and Multicultural Society -
본 연구에서는 우리 보다 40년 앞서 다문화사회로 진입한 독일이 이주민의 유입으로 생겨난 문화적 충돌과 갈등 및 다양한 사회문제들을 상호문화교육을 통해 적극적으로 해결해 가면서 사회통합을 이루어내려는 노력을 살펴보았다. 독일의 상호문화 교육이 태동된 배경과 상호문화 교육의 발전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얻은 시사점을 토대로 다문화사회에 진입한 우리나라가 시행착오를 줄이면서 사회통합을 위한 지름길을 찾을 수 있고 현재 한국에서 실시되고 있는 다문화교육의 제한점과 문제점들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들을 발견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몇 가지 제안을 하였다. 첫째, 문화상대주의적 관점에서 탈피해 문화를 ‘살아있는 과정’으로 인식해야 한다. 둘째, 배타적 민족중심적인 사고로부터 벗어나 세계화 시대의 핵심자질인 상호문화적 행동능력을 촉진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혈통주의를 공론화하여 인종차별 문제를 심도 있게 다루어 공개적 또는 감추어진 인종차별을 의식화하는 교육이 필요하다. 셋째, 자국민과 이주 배경 자녀 모두를 위한 소통의 문화교육(상호문화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교육정책 개발과 제도적 장치 마련이 시급하다. 넷째, 자국민과 이주 배경 자녀들의 상호문화적 의사소통을 위한 전환학습의 장(場)으로서의 학교의 역할을 정립해야 한다. 다섯째, 교육의 전 과정에 문화 간 대화와 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는 상호문화적인 내 용과 구조로의 개혁이 필요하다. 교과서에서도 다수민뿐만 아니라 소수민도 동일화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어야 하고 교사양성 및 교사 연수에서도 상호문화적 관점을 접목해야 한다.
The present study is aimed to examine the efforts that German made to realize social integration by solving actively cultural crash and conflict, and various social problems, which were caused by immigrants when the nation entered a multicultural society 40 years earlier than our country. Based on the implications found by looking into the setting in which Germany's intercultural education was born and its developing process, this study attempted to make some suggestions that can be helpful when our country, which has just stepped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tries to avoid trial and error, find a shortcut to social integration, overcome the current limitations and problems South Korea has in implementing multicultural education, and discover alternatives. First, culture should be recognized as ‘a living process’ out of the point of view of cultural relativism. Second, inter-cultural behavior skills should be promoted in the age of globalization out of the point of view of exclusive ethnic-centered thinking. To do that, we should bring 'jus sanguinis' to the table, discuss racist issues seriously, and provide education of conscientizing open or hidden racial discrimination. Third,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olicy and the institutional strategy should be urgently arranged in order to execute the communicational culture education(intercultural education) for both fellow countrymen and children with immigration background. Fourth, the role of school should be established as a venue of conversion study for the inter cultural communication between fellow countrymen and residents with immigration background. Fifth, the innovation as a structure and inter cultural contents in which the conversation and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throughout the whole process of education should be required. Textbooks should also be written in intercultural perspective that the minorities are given the same social opportunities as the majorities, and such viewpoint should be embedded in teacher education and trai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