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초기재령 철근큰크리트 라멘교의 균열제어에 관한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Crack Control of Early-aged Reinforced Concrete Rahmen Bridg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435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한국전산구조공학회 논문집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한국전산구조공학회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초록

초기재령 콘크리트 수화과정의 메카니즘과 초기재령 콘크리트 균열 제어기법의 개발은 주로 매시브한 콘크리트를 대상으로 실험적 연구와 수치해석적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나 철근 콘크리트 라멘교의 상부슬래브와 같이 비교적 두께가 적은 부재에 대해서는 연구 내용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4개의 철근 콘크리트 라멘교의 상부 슬래브에 대한 수화열을 현장 실측하여 온도이력과 강도 발현 모텔 및 건조수축 모델에 의한 응력들을 근거로 하여 초기 재령 철근 콘크리트 라멘교의 상부슬래브에 발생할 수 있는 균열을 제어할 수 있는 설계기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해석기법을 이용하여 초기재령 철근 콘크리트 라멘교의 상부슬래브에 발생되는 균열 폭을 계산하여 균열제어를 위한 철근량 산정방법을 제시하였고, 설계하중 재하 시 배력철근으로만 취급되는 헌치부의 철근이 초기재령 철근콘크리트 라멘교의 온도응력 검토 시에는 주철근이 됨을 알 수 있었다. 제안한 해석기법은 초기재령 철근콘크리트 라멘교의 온도균열제어를 위한 설계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researches on the early-aged concrete hydration process and the techniques for the early-aged concrete crack control mainly have been focused and developed on the massive concretes in both experimental and numerical studies. However, those researches for relatively thin members such as the upper slab of the reinforced concrete rahmen bridge have nearly been attempted. In this study, a designing technique for crack controlling in the thin members of the early-aged reinforced concrete rahmen bridges based on measured temperature history, strength revelation model and sinkage model is proposed. A method of calculating the reinforcing bar area for crack controlling is also proposed and it is found that the distributing bars under the design loads become the main reinforcing bars in the temperature stress analysis of the early-aged reinforced concrete rahmen bridges. It is shown that the proposed analysis technique is able to use the design of crack control for the early-aged reinforced concrete rahmen bridge.

저자
  • 정희효(진주산업대학교 토목공학과 교수) | Jung, Hee-Hyo
  • 이승렬(경상대학교 건설공학부 교수 공학연구원 책임연구원) | Lee, Sung-Yeol
  • 김우중(경상대학교 토목공학과 박사수료) | Kim, Woo-J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