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2010년부터 2011년까지 2년 동안 천수만 수질환경의 시공간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16개 정점에서 수층(표층과 저층)별 ․격월별로 년 6회 수온, 염분, 부유물질, 화학적산소요구량, 용존산소, 영양염류, 엽록소 a 에 대해 조사한 결과, 표층수와 저층수 간에는 아질산질소, 질산질소 및 용존무기질소을 제외한 모든 조사항목에서 표․저층 간의 차이가 컸었다. 공간적 분포특성은 전조사 항목에서 정점 간 차이가 적었으나, 주성분 분석결과 표층에서는 부남호 영향을 받는 정점 1 과 중간역인 정점 2∼11 및 입구쪽인 정점 12∼16로 구분되어지고, 저층에서는 표층과 마찬가지로 정점1과 죽도 북측연안의 정점 2∼7 및 정점 8∼16의 세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격월별로는 저층의 부유물질을 제외한 전조사 항목에서 유의성이 입증되었으며, 정점별로 차이가 있어 내측은 격월별 변화가 큰 상태이었고 입구측으로 갈수록 변화폭이 줄어드는 경향이었다. 수질의 시간적 변동은 표층과 저층에서 세 그룹으로 구분되어지나 경향은 차이가 있었으며 대부분의 조사월에서 영양염류가 낮은 상태이었다. 생태기반 해수수질 기준은 Ⅱ등급(좋음) 수준이며, 격월별로는 6월과 8월은 Ⅲ등급(보통), 10월과 12월은 Ⅱ등급(좋음), 2월과 4월은 Ⅰ등급(매우좋음)으로 구분되어 경인연안, 아산연안, 목포연안 및 군산연안과 마찬가지로 육수 유입의 원인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of water quality were investigated in the Cheonsu Bay of Yellow Sea, Korea from 2010 to 2011. Water samples were collected at 16 stations and physicochemical parameters were analyzed including water temperature, salinity, suspended solids (SS), chemical oxygen demand (COD), dissolved oxygen (DO), Chlorophyll a and nutrients.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of all survey items were not clear among stations but the bimonthly variations were distinct except the bottom water of the suspended solids. The trend analysis b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during 2 years revealed the significant variations in water quality in the study area. Spatial water qualities were discriminated into 3 clusters by PCA; station cluster in the surface water 1, 2∼11, and 12~16, the bottom water 1, 2~7, and 8~16. Annual bimonthly water qualities were clearly discriminated into 3 clusters by PCA. But tend of cluster in the surface and bottom water was difference, period most of the research was low in nutrient. Ecology-based water quality criteria was a good level of grade Ⅱ. Bimonthly results are shown as Ⅲ grade(normal) at June and August, Ⅱ grade(good) at October and December and Ⅰ grade for February and April. Water quality was showed by the input of fresh water same as those of Kyoungin coastal area, Asan coastal area, Gunsan coastal and Mokpo coastal area in the Cheons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