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국 남동해 간절곶 주변해역의 열염구조와 시공간적 변동 특성 KCI 등재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of Temperature and Salinity around Ganjeol Point in the Southeast Coast of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540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해양환경안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and Safety)
해양환경안전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초록

한국 남동해역 간절곶 주변 연안 20개 정점에서 2011년 1월, 4월, 8월, 11월에 조사한 수온 및 염분의 구조와 시공간적 변동 특성을 살펴보았다. 수온은 4월이 가장 낮고, 8월에 가장 높았으며, 염분은 1, 4월이 높고, 회야강의 영향으로 8월에 가장 낮았다. 수온·염분은 1, 4월 해면냉각으로 전 수심이 균일하였고 8월 하천수 유출에 의한 성층과 저층냉수 출현, 11월 표, 저층간 연직혼합에 의한 수온·염분의 균일화 구조를 보였다. 간절곶 주변은 지형적 용승에 의한 난류혼합으로 연중 낮은 수온과 높은 염분을 나타냈다. 표층수온은 간절곶을 중심으로 1~2일의 시간차를 가지고 변하였다. 수온은 내부조석파와 해저마찰, 비선형 천해조석 및 하천수 영향으로 해역에 따라 1/4~1.4일의 다양한 탁월주기 변동을 나타냈다. 수온변동은 간절곶 주변이 수층 간 동시성이 가장 컸고 회야강 주변에서 가장 작았다. 동 해역을 수온·염분구조와 그 시공간적 변동특성으로 볼 때, 간절곶 남쪽, 간절곶, 간절곶 북쪽이 각기 특징적 형태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of temperature and salinity around Ganjeol Point during January, April, August and November 2011 were studied using the data from CTD observations and temperature monitoring buoys deployed at 20 stations in the southeast coast of Korea. Temperature and salinity were nearly homogeneous through the whole depth by mixing of the seawater in spring and winter related to the sea surface cooling. Stratification induced by the river runoff and the bottom cold water was clear in summer. In autumn, sea water had vertical mixing initiated from surface layer and weak stratification at the middle and bottom layers. Low temperature and high salinity emerged throughout the year near Ganjeol Point, which inferred from turbulent mixing and upwelling by its topographical effect. Major periods of 1/4~1.4 day temperature fluctuations were recorded for the most part of the stations. According to the cross spectral density analysis, high coherence and small time lag for temperature fluctuation between layers were shown at Ganjeol Point. However, those features at the northen area of Hoeya river were opposed to Ganjeol Point. From analyses, thermohaline structure and its fluctuation around Ganjeol Point were characterized into those three parts, the south of Ganjeol Point, Ganjeol Point and the north of Ganjeol Point.

저자
  • 추효상(전남대학교 해양기술학부) | Hyo-Sang Choo Corresponding Author
  • 장덕종(전남대학교 해양경찰학과) | Duck-Jong Ja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