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남해안에 건설된 사용기간이 5~34년의 해상 콘크리트 교량의 염화물이온농도에 대한 실측데이터로부터 표면 염화물이온농도를 추정하고, 기존에 제시된 시방서와 타 연구결과에서 제시한 값들의 타당성을 평가하였다. 그리고 해상 콘크리트 교량의 염해방지도장의 유무, 염화물이온농도, 탄산화 깊이 및 콘크리트 압축강도의 상관관계를 도출하여 상호 작용을 평가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표면염화물이온농도는 간만대에서 KCI 2009, 물보라지역과 해상대기중에서 Cheong et al.(2005)의 제안한 값이 타당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해상 콘크리트 교량의 염해방지도장은 염화물이온의 침투, 탄산화 깊이 및 압축강도 저하 대한 방지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콘크리트의 압축 강도는 탄산화 깊이와 염화물이온농도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다.
In this study, chloride content of marine concrete bridge at the south coast in 5~34years was calculated based on the measured data and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value was evaluated. Also, correlation of existence of salt injury prevention coating, chloride content, carbonation depth and the compressive strength of marine concrete bridges were derived and relationship of the four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surface chloride content value in the tidal zone proposed form KCI 2009 and value in the splash zone and atmospheric zone proposed form Cheong et al.(2005) was the most valid. Also, salt injury prevention coating of marine concrete bridges had the outstanding effect of preventing chloride content penetration, carbonation depth and reduction in the compressive strength.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was reduced by the increase of carbonation depth and chloride con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