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거제한산만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춘계와 하계의 군집구조 및 건강도 평가 KCI 등재

Community Structure and Health Assessment of Macrobenthic Assemblages at Spring and Summer in Geoje-Hansan Bay, Southern Coast of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557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800원
해양환경안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and Safety)
해양환경안전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초록

본 연구는 거제한산만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와 건강도를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대형저서동물의 채집을 위한 현장조사는 2013년 5월(이하 춘계)과 8월(이하 하계)에 실시하였다. 거제한산만에서는 총 300종 7.6 m-2과 75,760개체(1,994개체 m-2)의 대형저서동물이 출현하였고, 다모류가 110종과 49,955개체(1,315개체 m-2)의 밀도를 나타내 가장 우점하는 생물이었다. 거제한산만의 주요 우점종은 다모류의 긴자락송곳갯지렁이(Lumbrineris longifolia, 299±164개체 m-2), Aphelochaeta monilaris(100±57개체 m-2), 이매패류의 종밋(Musculista senhousia, 91±96개체 m-2) 및 다모류의 꼬리대나무갯지렁이(Praxillella affinis, 80±696개체 m-2)등이었다. 출현 종과 개체수의 자료를 근거로 대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를 파악한 결과, 대형저서동물 군집은 크게 내만역(산달도 인근 양식어장) 정점군과 수로역(한산도에서 추봉도 해역) 정점군으로 대별되었다. 거제한산만의 건강도를 평가한 결과, 수로역의 정점군과 비교해 내만역에 위치한 산달도 인근 양식어장 정점군에서 환경질이 상대적으로 불량하였다. 또한 3개의 생물 평가지수(다양도 지수, M-AMBI 지수 및 환경보전도지수)는 AMBI 지수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효율적인 지수임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ommunity structure and health assessment of macrobenthic assemblages in Geoje-Hansan Bay, Southern Coast of Korea. Macrobenthos were collected by van Veen grab sampler at May (spring) and August (summer) 2013. The total species number and mean density were 300 species 7.6 m-2 and 1,994 ind. m-2, respectively. The major dominant species were the polychaetes Lumbrineris longifolia (299±164 ind. m-2), Aphelochaeta monilaris (100±57 ind. m-2), the bivalve Musculista senhousia (91±96 ind. m-2) and the polychaete Praxillella affinis (80±66 ind. m-2). From the community statistics [cluster analysis and nonmetric multidimentional scaling (NMDS) ordination], the macrobenthic community was distinguished into two groups of inner bay (farming ground of near Sandal Island) and channel station(from Hansan Island to Chubong Island) group. In this study, the ecological status was assessed by four biotic indices Shannon's H', the ATZI Marine Biotic Index (AMBI), multivariate-AMBI (M-AMBI) and the Environment Conservation Index (ECI). The ecological status of the macrobenthic community in Geoje-Hansan Bay were poorer in the inner bay station than in the channel stati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howed that three biotic indices (Shannon's H', M-AMBI and ECI) were valid as an index for evaluating the ecological status than the AMBI.

저자
  • 정래홍(국립수산과학원 어장환경과) | Rae Hong Jung
  • 서인수((주)저서생물연구센터) | In-Soo Seo Corresponding Author
  • 최병미((주)저서생물연구센터) | Byoung-Mi Choi
  • 최민규(국립수산과학원 어장환경과) | Minkyu Choi
  • 윤상필(국립수산과학원 어장환경과) | Sang-Pil Yoon
  • 박상률(제주대학교 해양의생명과학부) | Sang Rul Park
  • 나종헌((주)저서생물연구센터) | Jong Hun Na
  • 윤재성((주)저서생물연구센터) | Jae Seong Y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