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낙동강 하구 염습지의 갈대서식 환경 특성 KCI 등재

Environmetal Characteristics of Reed Habitat in Nakdong Estuary Saltmarsh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559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해양환경안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and Safety)
해양환경안전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하구 염습지 생태계 복원 및 조성을 위한 기초적 연구로서, 낙동강 하구 사주섬인 진우도에 서식하는 갈대의 서식환경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저질의 함수량, 입도분포, pH, 영양염 농도(NH₄-N, PO₄-P), 지하수위, 지반고, 갈대 개체수 및 최대 높이 등의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연구대상 지역의 저질 입경 및 함수량이 갈대 서식환경에 미치는 영향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pH는 식생대와 비식생대 정점의 차이가 없었고, NH₄-N와 PO₄-P 농도도 정점별 차이가 없었다. 식생대 영역에서 해안선 쪽으로 갈수록 지반고가 낮으며 개체수는 감소하였고, 지하수위는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낙동강 하구 염습지의 갈대서식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인자는 지반고와 지하수위가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paper, as a basic research for the restoration and construction of easuary saltmarsh, To observe the habitat environment for reed, we observed sediment environment (Particle size, water content, pH, nutrient analysis (NH₄-N, PO₄-P)), ground water level, ground level, individual numbers of reed, maximum reed height. As a result of this study, sediment particle size and moisture content of soil on the study area not effected reed habitat, pH showed no difference in each site. NH₄-N and PO₄-P concentration also no difference in each site. Ground level of reed habitat area is more higher than none reed habitat. However Ground water level of reed habitat area is more lower than none reed habitat. As a results of analyzing the influence factors for reed habitat in Nakdong estuary saltmarsh, ground water level and ground level is most influenced factor for reed habitat.

저자
  • 류성훈(부경대학교 해양공학과) | Sung-Hoon Ryu
  • 김경회(부경대학교 해양공학과) | Kyung-Hoi Kim
  • 이인철(부경대학교 해양공학과) | In-Cheol Lee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