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VCDF 방식을 통한 효율적인 VTS 통신 데이터 분석에 관한 연구 - 부산항을 대상으로 - KCI 등재

A Study on the Effective VTS Communications Analysis by the Method of VCDF in Busan Por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560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해양환경안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and Safety)
해양환경안전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초록

세계 주요 항만에서 해상안전관리의 주요한 수단으로 자리잡은 VTS는 향후 E-네비게이션을 비롯하여 해상과 항만의 각종 데이터를 총괄하는 데이터 베이스의 중심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다양한 정보의 수집과 분석이라는 측면에서 최근에 주목되고 있는 빅 데이터 개념을 포함한다면 VTS를 통해 수집할 수 있는 데이터의 범위와 정보 분석 능력 및 활용범위를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통신 빈도와 같이 정량적 분석 위주로 접근했던 기존 연구와는 달리 VTS 통신의 목적이나 유형과 같은 분석을 포함하여 관제대상 선박에 대한 정보와 각 통신의 소요시간까지 수집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정보의 여러 항목을 교차하여 비교하고 분석할 수 있는 데이터 수집 모델을 본 연구에서 제시하여 관제통신 건수, 방식, 관제 유형방법, 선종별 통신량 및 법령 위반건수 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 결과 (1) 부산항 북항의 경우에는 정보전달 형태의 관제가 빈번하고, 특정한 선종의 선박과 통신이 편중되어 있으며 (2) 관제 채널 청취 불이행, 항로 준수 위반의 법령 위반 사항이 자주 발생하고 있으나 통신량의 혼잡으로 인하여 소극적인 관제가 수행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렇게 수집된 정보는 IALA Guideline에서 작업부하로 지적하고 있는 ‘상황인지가 가능한 수준의 관제통신량’에 대한 분석 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며 향후 e-내비게이션 연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VTS concept was located as a principal methods of maritime safety administration in world’s major harbors and expected to become the pivotal role for the future of the maritime and harbor society with e-Navigation epoch. If recent limelight concept of big-data has been included in aspect of information gathering and analysis with various studies, it’s required advanced studies to improve the information analysis capability and application range of the data that can be mining by the VTS. In this study, contrast to other studies that aimed quantitative analysis as communication number, it can be mining the time information and each of the communication VTS for the target vessel, including qualitative analysis, such as the purpose or the type of communication. This comparison across multiple items of the collected information, and presenting the VTS data mining model (VCDF) that can be analyzed for the purpose of analyzing way, type and number of communication by ship's type, also number of violations through VTS communication. First, In Busan port case, it shows frequently information service and shows frequently communicating with particular types of vessels. Second, Passive VTS carried out notwithstanding many kinds of traffic violations due to communication congestion. This arranged information can be used as data for the analysis, as possible the level of traffic for VTSO situational awareness, which pointed to the ‘workloads’ in ‘IALA Guideline’ and could be used as a database for future research of e- Navigation.

저자
  • 김봉현(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 Bong-Hyun Kim
  • 박영수(한국해양대학교 해사수송과학부) | Young-Soo Park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