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낙동강 하구역에서 2013-2015년 식물플랑크톤의 시·공간분포 특성 KCI 등재

The Characteristics of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n Phytoplankton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during 2013-2015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563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해양환경안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and Safety)
해양환경안전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초록

낙동강 상류지역 건설사업 이후, 식물플랑크톤의 시·공간 분포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2013년 2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낙동강 하구둑에서 가덕도 동편에 이르는 수역에서 격월로 환경요인과 식물플랑크톤을 조사하였다. 환경요인은 연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상·하부수역 및 계절적 차이가 나타났다. 상부수역은 돌말류, 녹조류, 남조류가 하부수역보다 높았고, 특히 담수돌말류와 남조류가 우점하였다. 반면 하부수역은 와편모류가 주로 출현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상부수역은 Stephanodiscus spp., Asterionellopsis formosa, Microcystis spp.가 주로 담수방류에 의한 인위적인 유입과 관련성이 나타났다. 우점종과 상관관계가 나타난 환경요인은 수온, 풍속, DIP, DIN 등으로 나타났다. 하부수역에서 상위종으로 출현한 와편모류는 대부분 영양염류 및 바람과 상관성이 나타났다. 특히 하부수역에서 Prorocentrum donghaiense은 DIN, 풍속, 강풍발생 일수와 음의 상관성이 나타났고, 하계시기에 집중적으로 출현한다. 유사도와 PCA분석에서도 상부수역은 시기적인 구분이 뚜렷하지 않은 반면 하부수역에서는 계절적인 차이가 발생하였다. 하부수역은 2014년 일부시기를 제외하고, 크게 와편모류가 증가하는 6-8월과 돌말류가 우점하는 10-4월로 구분되었다. 이는 지리적 특성에 의한 담수 방류의 영향범위 차이가 담수종과 영양염류의 유입을 변화시켜 식물플랑크톤 군집특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의미한다.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 after barrage construction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this study investigated relevant environmental parameters and phytoplankton status based on bi-monthly samples collected from the Nakdong River Estuary itself from February 2013 to December 2015. Environmental parameter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cross these years but did vary between zones and seasons.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upper zone was dominated by fresh-water diatoms, green algae, and blue-green algae, whereas the lower zone was mostly dominated by dinoflagellates. The presence of Stephanodiscus spp., Asterionellopsis formosa, and Microcystis spp. in the upper zone was related to the inflow of freshwater discharge by artificial control of dyke gates. The dominant phytoplankton species in this zone were dependent on temperature, wind speed, DIP, and DIN, while those in the lower zone were mostly dependent on nutrients and wind speed. In addition, at the lower zone,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Prorocentrum donghaiense, DIN, and wind speed, with its abundance being higher during the summer than other seasons. Analysis of temporal variations did not indicat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upper zone but did reveal variations among seasons at the lower zone. Except in 2014, the lower zone could be divided into periods dominated by diatoms (October-April) and dinoflagellates (June-Augus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phytoplankton community were influenced by changes in the inflow of freshwater species and nutrients given the difference in the range affected by freshwater discharge.

저자
  • 유만호(국립수산과학원 기후변화연구과) | Man-Ho Yoo
  • 윤석현(국립수산과학원 기후변화연구과) | Seok-Hyun Youn Corresponding Author
  • 박경우(국립수산과학원 기후변화연구과) | Kyung-Woo Park
  • 김아람(국립해양조사원 해양관측과) | A-Ram Kim
  • 윤상철(국립수산과학원 기후변화연구과) | Sang-Chol Yoon
  • 서영상(국립수산과학원 기후변화연구과) | Young-Sang Su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