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하계 용승현상에 따른 간절곶 주변해역의 냉수역 구조와 변동 KCI 등재

Variation and Structure of the Cold Water Around Ganjeol Point Off the Southeast Coast of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572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해양환경안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and Safety)
해양환경안전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하계 한국 남동해 간절곶 주변해역의 냉수대 구조와 변동을 CTD 관측과 수층별 수온 장기 연속 모니터링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냉수대의 표층수온은 냉수기 이전과 -12℃의 차이를 보였으며 해저지형 효과로 간절곶에서 냉수대 세력이 가장 컸다. 남북해역 간 등온선의 시계열분포에 간절곶을 경계로 공간변화가 발생해 간절곶 주변 해저지형이 언덕(hill)역할을 하고 있음이 추정되었다. 냉수대는 해안에 평행한 풍속이 양(+)의 값일 때 출현하는 연안용승반응을 나타냈고, 수온의 감소와 상승은 풍향이 바뀐 후 하루 이내에 반응하였다. 간절곶 주변은 얕은 수심 주위에서 발생하는 와류효과가 결합하여 바람에 의한 용승효과가 강화되었다. 수온변화는 2~6일 주기의 바람변동에 민감하였으며, 수온감소는 12~36시간의 위상차를 나타냈다. 냉수대가 출현한 7월은 2~3일 주기, 8월은 3~8일 주기에서 바람-수온변화의 상관성이 컸다.

The variation and structure of the cold water mass around Ganjeol Point during the summer of 2011 were studied using data from CTD observations and temperature monitoring buoys deployed at 20 stations off the southeast coast of Korea. There was a –12℃ surfac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cold water mass and normal water during the monitoring period. Variations in the isothermal lines for surface temperature along the coast showed that the seabed topography at Ganjeol Point played an important part in the distribution of water temperature. Cold water appeared when the wind components running parallel to the coast had positive values. The upwelling -response for temperature fluctuations was very sensitive to changes in wind direction. Vertical turbulent mixing due to the seabed topography at Ganjeol Point can reinforce the upwelling of cold bottom water. From wavelet analysis, coherent periods found to be 2-8 days during frequent upwelling events and phase differences for a decrease in water temperature with a SSW wind were 12-36 hours.

저자
  • 추효상(전남대학교 해양기술학부) | Hyo-Sang Choo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