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발산량과 강수량을 변수로 하는 SPEI (Standardized Precipitation Evapotranspiration Index)는 보편적으로 기상학적 가뭄심도를 정량화 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또한 RDI (Reconnaissance Drought Index)는 가뭄의 피해를 받고 있는 지역에 활용도가 높은 가뭄지수이지만 이를 이용 한 국내 적용사례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Thornthwatie, Hargreaves, Blaney-Criddle 증발산량 산정 방법을 이용하여 증발산 량과 강수량을 변수로 하는 SPEI와 RDI를 비교하였다. 1992년부터 2015년까지 한강 유역에 대한 가뭄 정량화 및 특징 비교를 위해 기상청 관할 16개 지점의 기상자료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한강유역의 경우 최근 들어 급격히 극한 가뭄이 발생하고 있는 지점들이 증가하였다. 두 가뭄지수 사이에 상관정도는 비교적 높았으나 가뭄의 심도 및 극한가뭄의 발생 연도 사이에는 일부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가뭄 심도와 발생 시기의 정량화 를 위해 RDI 또한 활용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Standardized Precipitation Evapotranspiration Index (SPEI) considering evapotranspiration and precipitation is generally used to quantify the drought severity. Also, Reconnaissance Drought Index (RDI) has been frequently used in the arid regions which is suffering severe droughts, but drought analysis in association with RDI has been the focus of few studies in South Korea. Therefore, this study compared two meterological drought indices based on precipitation and evapotranspiration using Thornthwaite, Hargreaves, and Blaney-Criddle evaportranspiration calculation methods. Meteorological data of sixteen weather stations which are operated by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were used to quantify drought and to compare characteristics of drought for the Han River Basin from 1992 to 2015. As a result, in case of Han River Basin, severe drought sharply increased in recent years. While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are relatively high between the SPEIs and RDIs, the drought severity and year of severe drought are partially differ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RDI will be also measured to quantify severity and occurrence year of drou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