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공간정보기술 활용 교육에 대한 교사 요구사항 분석 및 교육서비스 제공 전략 KCI 등재

Requirements Analysis for Teaching with Geospatial Technology and Provision of Educational Services for K-12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5912
  • DOIhttps://doi.org/10.16879/jkca.2017.17.1.05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한국지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한국지도학회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초록

21세기 정보화 사회에서 창의적이고 융합적인 교육이 강조되고 있다. 해외의 경우 창의융합 교육의 대표적 형태로 STEM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 Mathematics) 교육이 강조되고 있으며, STEM교육의 한 요소로서 공간정보는 매우 중요하게 인지되고 있다. 공간정보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은 미국, 영국 등 외국의 공간정보 구축 기관에서 K-12 수준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는 공간정보 기반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유도하였다. 우리나라에서도 창의융합 교육이 강조되고 있지만 공간정보가 일선 학교현장에서 활발히 사용되고 있지는 않다. 본 연구는 공간정보가 초, 중, 고등학교 수준에서 활발히 활용되도록 공간정보 구축 기관에서 마련해야 할 교육서비스 제공 방안에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공간정보를 활용한 수업의 교육적 효과를 살펴보고, 3장에서는 300여명의 초, 중, 고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공간정보기반 교육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요구사항을 조사하였 으며, 4장에서는 공간정보기반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해외사이트들을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공간정보 기반 교육서비스 제공 전략을 모색하였다.

Creative and convergent education is emphasized in the information society of the 21st century. In the case of overseas, STEM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 Mathematics) education is emphasized as a representative form of creative convergence education, and geospatial technology is recognized as a very important factor as an element of STEM education. As a result, the geospatial institutions in U.S. and U.K. have provided the education contents and services based on geospatial technology in the K-12 level. In Korea, the importance of creative education has also been emphasized in recent years. However, creative and convergence education based on geospatial technology that can be positioned at the core of education is insufficient. This study focused on the strategy development so that the geospatial technology is actively used at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levels. In chapter 2, we examine the research related to the educational effect of teaching with geospatial technology. In chapter 3, we investigate the requirements for vitalizing the teaching with geospatial technology by surveying 300 teachers. In chapter 4, we analyze the overseas web sites that provide educational service based on geospatial technology. Based on this, we propose a strategy for educational service based on geospatial technology.

저자
  • 강영옥(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교육과 지리전공 교수) | Youngok Kang
  • 박지영(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과교육과 지리전공 박사과정) | Jiyoung P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