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Ru 착화학물 기반의 전기화학발광 소자 내에서 PMMA 함유량에 의존하는 이온들의 이동현상

PMMA contents dependent ion transports in ruthenium complex based electrochemiluminescence devic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658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화상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maging Science and Technology)
한국화상학회 (Korean Society for Imaging Science and Technology)
초록

본 논문에서는 전기화학발광 소재로 널리 이용되는 Ruthenium 착화합물을 함유한 전기화학발광 소자의 활 성층 제작시, 인쇄성 및 공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Poly(methyl methacrylate) (PMMA)를 첨가하였을 때, PMMA의 함유량이 전기화학발광소자의 발광층 내 이온들의 이동 현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Ruthenium 착화합물과 이온성 액체가 9:1 비율로 섞인 용질이 Acetonitrile에 20 mg/ml 농도로 녹여진 용액과 Dichloromethane에 PMMA가 25 mg/ml의 농도로 용해된 용액을 세 가지 (10:0.14, 10:1 그리고, 10:3) 중량비로 섞어 서 준비한 용액으로부터 발광층을 형성하여 전기화학발광소자를 제작하고, 소자의 전기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 과, 발광층 내의 PMMA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Ruthenium 착화합물 기반 전기화학발광소자의 구동 전압은 점차 증가 하였고, PMMA의 양이 줄어들면 순방향 전압하의 전류와 역방향 전압하의 전류 차에 따라 나타나는 이력곡선 (hysteresis)이 점차 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is paper, we hav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which is intentionally added to improve the printability and processability of ruthenium complex-based light-emitting layers, on the migration of ions in the emissive layer of the electrochemiluminescent (ECL) device. For this purpose, we fabricated the ECL devices with three different (ratios of 10:0.14, 10:1, and 10:3) solutions comprised in a 9:1 ratio mixture of ruthenium complex and ionic liquid dissolved in acetonitrile at a concentration of 20 mg/ml and a solution of PMMA dissolved in dichloromethane at a concentration of 25 mg/ml and evaluated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devices. As a result, the driving voltage of the ruthenium complex-based ECL devices gradually increased as the PMMA contents in the layer increased. However, the hysteresis, that is the difference in the current flows under the forward and the reverse bias, was getting disappeared as the amount of PMMA decreased.

저자
  • 박희진(부경대학교 과학기술융합전문대학교 LED융합공학과) | Hee-jin Park
  • 이현석(부경대학교 과학기술융합전문대학교 LED융합공학) | Hyeonseok Lee
  • 공석환(숭실대학교 화학공학과) | Seok Hwan Kong
  • 유영문(부경대학교 과학기술융합전문대학교 LED융합공학) | Young Moon Yu
  • 이지열(부경대학교 인쇄정보공학과) | Jiyoul Lee
  • 강문성(숭실대학교 화학공학과) | Moon Sung Ka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