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전라남도 사옥도 백악기층에서 발견된 공룡과 새발자국 화석의 SHRIMP U-Pb 연대 KCI 등재

SHRIMP U-Pb Ages of Dinosaur and Bird Footprints found in Cretaceous Formation of Saok Island, Jeollanam-do, South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798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전남 사옥도 지역의 지질은 쥐라기 화강암, 백악기 퇴적암, 산성응회암, 산성맥암으로 구분된다. 최근 공룡 발자 국, 새 발자국 및 절지동물의 보행열이 발견된 사옥도지역의 백악기층은 하부로부터 담회색 사암, 셰일, 이암 등이 교 호한다. 화석을 포함하는 퇴적암은 산성응회암에 의해 덮이며, 산성암맥이 퇴적암과 응회암을 관입한다. 사옥도 지역 백 악기 퇴적암의 퇴적시기를 밝히기 위해 응회질 사암과 상부의 산성 응회암에 대해 저어콘의 SHRIMP U-Pb법 절대연 대를 측정하였다. 사암과 응회암의 U-Pb 연대는 각각 83.58±0.86와 79.80±0.75 Ma이며 이는 백악기 후기의 캄파니안 에 해당된다. 산성응회암의 연대는 응회암의 분출시기와 화석을 포함하는 퇴적암의 최소 연대를 지시한다. 따라서 공룡 과 물갈퀴 새발자국의 형성연대는 83.6와 79.8 Ma 사이로 추정된다.

The geology of Saok island area in Jeollanam-do can be divided into 4 lithologic types: Jurassic granite, Cretaceous sedimentary rocks, acidic tuff and acidic dikes. In the Saok island area, dinosaur and web-footed bird footprints, arthropod trackway and silicified wood were found recently in the Cretaceous sedimentary rocks which composed of alternating light grey sandstone, shale and mudrock. The fossil-bearing sedimentary rock is overlain by an acidic tuff, and the sedimentary rock and acidic tuff are cut by acidic dykes. In order to constrain the depositional age of the Cretaceous sedimentary rocks in Saok island area, SHRIMP U-Pb zircon ages were determined in the tuffaceous sandstone and overlying acidic tuff. Zircon U-Pb ages of the sandstone and tuff are 83.58±0.86 and 79.80±0.75Ma, respectively, which belong to the Campanian of the Late Cretaceous. The U-Pb age of the acidic tuff indicates the eruption time of acidic tuff and thus the minimum age of the fossil-bearing sedimentary rocks in this area. Therefore, the formation age of the dinosaur and web-footed bird footprints can be constrained between 83.6 and 79.8Ma.

저자
  • 김정빈(순천대학교 물리교육과, 57922, 전남 순천시 중앙로 255) | Cheong-Bin Kim (Department of Physics Education, Sunchon National University, Suncheon 57922, Korea) Corresponding author
  • 김의진(전남과학고등학교, 58215, 전라남도 나주시 금천면 오강길 33) | Uijin Kim (Jeonnam Science High school, Naju 58215, Korea)
  • 박민수(순천대학교 부설 영재교육원, 57922, 전남 순천시 중앙로 255) | Minsu Park (Science Education Center for Gifted Youth, Sunchon National University, Suncheon 57922, Korea)
  • 황구근(순천승주중학교, 57908, 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 승주로 615) | Koo-Geun Hwang (Suncheon Seungju Middle school, Suncheon 57908, Korea)
  • 이기욱(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환경소재분석연구부, 28119, 청주시 청원구 오창읍 연구단지로 161) | Keewook Lee (Division of Environmental and Material Sciences, Korea Basic Science Institute, Cheongju 28119,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