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기후변화환경하에서멸종위기식물섬시호(산형과)의보전방안마련을위한 광, 수분, 영양소에 대한 반응 연구 KCI 등재

Growth response to Light, Moisture and Nutrients for the Conservation Measures of Bupleurum latissimum(Apiaceae, endangered species) under Future Climate Environment(Elevated CO2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807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본 연구는 멸종위기식물인 섬시호를 대상으로 기후변화의 원인인 CO2+온도상승과 식물의 생육 및 분포에 중요한 광, 수분, 영양소를 조합 처리하여 지구온난화에 대해 어떻게 반응하는지 알아보고, 기후변화환경 하에서의 보전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실험은 야외의 CO2 농도와 온도를 반영한 대조구와 유리온실에서 대조구보다 CO2 농도가 약 2배, 온도가 약 2°C 높게 유지한 CO2+온도상승구로 구분하여 2010년부터 2011년까지 생육시켜 관찰하고 비교하였다. 섬시호의 생육반응은 광, 수분, 영양소보다 CO2+온도상승의 영향을 더 많이 받았고, CO2+온도상승구에서 영양소가 많은 조건일 때 잘 자랐다. 잎 수는 대조구에 비해 CO2+온도상승구에서 광이 낮은 구배와 영양소가 높은 구배에서 많았고, 잎 폭은 대조구에 비해 CO2+온도상승구에서 광과 영양소가 중간 구배에서 좁았다. 그러나 지상부 길이, 잎몸 길이 그리고 잎자루 길이는 대조구와 CO2+온도상승구 간에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미래기후환경 하에서 섬시호의 보전을 위해서는 섬시호 자생지에 NH4 +, NO3, P2O5, K2O 등이 포함된 영양소를 공급하고, 섬시호 자생지가 파괴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섬시호의 자생지와 유사한 환경조건을 가진 곳을 발굴하여 복원함으로써 서식지를 확대하여야 한다.

In order to elucidate the ecological responses of B. latissimum under global warming situation and prepare the conservation measures, we cultivated the plant within control(ambient CO2+ambient temperature) and treatment(elevated CO2+elevated temperature) from 2010 to 2011. Rising CO2 concentration was treated with 2 times and temperature increased with 2.0°Cabove than control. As a result, Growth response has received more the effect of CO2+Temperature rising than light, moisture, nutrients, and it was grow well in CO2+temperature rise sphere when many nutrients, and it was grow well in CO2+temperature rise sphere when many nutrients. No. of leaves were many number in the treated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at a low light gradient and high nutrient gradient, leaf width was narrow in the treatment compared to the control in the middle gradient of light and nutrients. Shoot length, petiole length, lamina length was no difference between control and CO2+temperature rise sphe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order to preserve the B. latissimum in future climate, we should be supply of nutrients(containing NH4 +, NO3, P2O5, K2O, etc.) in the habitat of the B. latissimum, and must ensure that the habitat of B. latissimum is not destroyed. Also, We should be find similar area with habitat of the B. latissimum, restoring, expanding.

저자
  • 안경호(공주대학교 생명과학과) | Kyeong-Ho Ahn (Department of Life Science, Kongju National University, Gongju 32588, Korea)
  • 유영한(공주대학교 생명과학과) | Young-Han You (Department of Life Science, Kongju National University, Gongju 32588, Korea)
  • 조규태(공주대학교 생명과학과) | Kyu-Tae Cho (Department of Life Science, Kongju National University, Gongju 32588,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