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LED광질에따른 분홍장구채(Silene capitata Kom.)의 생리 및 개화 반응 KCI 등재

Effects of the Light Source of LEDs on the Physiological and Flowering Response of Endangered Plant Silene capitata Ko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808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한국 멸종위기식물인 분홍장구채의 보전 및 인공재배를 위해 식물공장 내 인공적인 광 조건에서 일어나는 생리와 개화반응 특성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분홍장구채를 식물공장의 각 챔버에 적색광, 청색광, 백색광, 적색+원적색 혼합광, 적색+청색 혼합광 그리고 적색+청색+백색 혼합광 하에서 재배하여 광합성률, 증산률, 기공전도도, 수분이용효율, 엽록소함량, 최소엽록소형광, 최대엽록소형광, 광계II의 광화학적 효율 그리고 잎과 꽃 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적색 단일광과 적색+원적색 혼합광에서 분홍장구채는 가장 많이 개화하였으며, 이 광조건에서는 광합성률, 증산률 그리고 기공전도도는 상대적으로 다른 조건보다 높았으나 수분이용효율은 차이가 없었으며, 엽록소함량은 적었 다. 특히 최소 및 최대 엽록소형광과 광계II의 광화학적 효율은 적색 단일광 조건에서 다른 광 조건보다 낮았다. 이러한 결과는 분홍장구채의 꽃의 생산을 위해서는 적색 단일광이나 적색+원적색의 인공광 조건에서 재배하는 것이 효율적이 라는 것을 의미한다.

We examed physiological and flowering response of S. capitata, the endangered plant in Korea, under LED light conditions in plant factory to cultivate artificially for conservation. We cultivated S. capitata and measured its physiological responses and the number of flowers under red, blue, white, red+far-red mixed, red+blue mixed, and red+blue+white mixed light. The results showed that its photosynthetic rate and chlorophyll content were recorded relatively high in red+blue+white and red+blue mixed light respectively. Transpiration rate and stomatal conductance appeared relatively high in the white single light while water use efficiency was no difference. Photochemical efficiency of photochemical photosystem II by minimum and maximum chlorophyll fluorescence was the highest in the red+blue+white mixed light condition than other ones. The number of flowers of S. capitata was at its peak under the red light or red+far-red mixed light. Therefore, we conclude that the most efficient way to grow for flowering of S. capitata is to provide red light or red+far-red mixed light in the plant factory.

저자
  • 박재훈(공주대학교 생물학과) | Jae Hoon Park (Dept. of Biology, Kongju Univ., Gongju 32588, Korea)
  • 이응필(국립생태원 생태보전연구실) | Eung Pill Lee (Division of Ecological Conservation,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Seocheon 33657, Korea)
  • 이수인(공주대학교 생물학과) | Soo In Lee (Dept. of Biology, Kongju Univ., Gongju 32588, Korea)
  • 장래하(공주대학교 생물학과) | Rae Ha Jang (Dept. of Biology, Kongju Univ., Gongju 32588, Korea)
  • 안경호(공주대학교 생물학과) | Kyung Ho An (Dept. of Biology, Kongju Univ., Gongju 32588, Korea)
  • 유영한(공주대학교 생물학과) | Young Han You (Dept. of Biology, Kongju Univ., Gongju 32588,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