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복강경 담낭절제술 10년 경과 후 외과용 클립에 의해 발생한 총담관결석 KCI 등재 SCOPUS

Common Bile Duct Stone Caused by Migrated Surgical Clip 10 Years after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859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3,000원
대한췌담도학회지 (Korean Journal of Pancreas and Biliary Tract)
대한췌장담도학회(구 대한췌담도학회) (Korea PancreatoBiliary Association)
초록

본 증례는 복강경 담낭절제술 후 10년이 경과되어 발생한 총담관 결석의 예로, 결석 내 포함된 외과용 클립이 담관결석의 원인이 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내시경으로 제거한 총 담관결석 내에 외과용 클립이 발견되어 수술시 사용한 외과용 클립이 총담관 내로 이동하여 총담관 내 결석의 핵으로 작용했을 가능성을 뒷받침한다. 담낭 절제술 후 발생한 우상 복부 통증으로 내원한 환자에서 외과용 클립에 의한 총담관 결석은 진단에 있어 고려해야 할 부분으로 생각된다. 진단은 단순복부촬영에서 우상복부에 금속성 물질이 관찰된다면 의심할 수 있겠으나, 내시경적 담췌관조영술에서 총담관 내에 음영결손과 결석 내부에 금속성 물질이 관찰될 때 가능하다. 치료는 일반적인 총담관 결석의 치료와 동일하며, 내시경을 이용한 유두괄약근 절개술 후 바스켓 및 풍선 카테터를 이용한 결석 제거가 유용하다.

Rarely, surgical clips can migrate into the biliary tract after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and work as a nidus for biliary stone formation. We report a case of the development of a common bile duct (CBD) stone induced by surgical clip in a 57-yearold man who underwent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10 years ago. On computed tomography, a CBD stone with a metallic material was found, and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ERCP) revealed a CBD stone including a metallic clip. The stone was removed completely by ERCP, and the surgical clip was found along with the stone.

저자
  • 하성삼(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Sung Sam Ha
  • 임유리(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Yoo Ri Lim
  • 이지현(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Ji Hyeon Lee
  • 심정한(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Jeong Han Sim
  • 유진세(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Jin Sae Yoo
  • 이경주(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Kyong Joo Lee Corresponding author
  • 김동현(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Dong Hyun Kim
  • 김재우(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Jae Woo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