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게이미피게이션은 어떻게 학생들을 움직이는가: 학습시간 관리서비스 분석을 통한 심리적 반엔트로피와 밈에 관한 연구 KCI 등재

How Gamification Moves Students: A Study on Psychic Anti-entropy and Meme through Analysis of Study Time Management Servic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8936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한국게임학회 (Korea Game Society)
초록

본 연구는 국내 교육 환경에서 특별하게 등장하고 있는 학습시간 관리서비스의 개념과 그 안에 서 활용되고 있는 게이미피케이션 요소들의 특성을 파악한 후, 학습시간 관리서비스가 지향하는 심리적 반엔트로피의 의미와 새로운 게이미피케이션 요소로서 밈(meme)의 역할을 제시한다. 교육 용 게이미피케이션의 목표는 게임과 학습의 유사한 부분을 찾아 학습 환경에 접목시킴으로써 학 습 동기를 강화하고 몰입으로 이끄는 것이다. 학습시간 관리서비스 또한 그러한 목표를 지향한다. 하지만 그것은 앱 차단과 같은 외적 반엔트로피 환경을 게임적 기술이나 게임적 사고로 연결해 외적 동기를 부여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뿐만 아니라 내적 동기를 유발하기 위해 새로운 게 이미피케이션 요소로서 밈을 활용한다는 점에서도 차별화된다. 특히, 학습 패턴과 관련된 밈은 학 습 활동 수행에 관한 일종의 지침과 같은 것으로서, 우수한 학습 패턴을 모방하려는 내적 동기를 유발하고 심리적 반엔트로피 상태를 지속시킬 수 있는 동력이 된다. 따라서 학습시간 관리서비스 안의 게이미피케이션은 게임 기반의 기술이나 게임적 사고를 활용함으로써 외적 반엔트로피 환경 을 강화하고, 학습 패턴의 밈을 활용함으로써 심리적 반엔트로피 상태를 지속시키는 것이다.

This study explores the concept of Study Time Management Service(STMS) and the characteristics of gamification elements in STMS, in order to propose the meaning of psychic anti-entropy and the role of a meme as a new gamification element. The goal of gamification in education is to enhance study motivation and lead to flow by integrating similarities between game and study into the study environment. STMS also aims at such a goal. However, it differs in that the external anti-entropy environment, such as blocking apps, is connected with game mechanics or game thinking to give extrinsic motivation. It is also unique in that it uses a meme as a new gamification element to induce intrinsic motivation. In particular, a meme as a kind of guideline for performing study activities induces intrinsic motivation to imitate good study patterns and offers the driving force to sustain psychic anti-entropy state. Therefore, gamification in STMS is to strengthen the external anti-entropy environment by utilizing game mechanics or game thinking, and to maintain the psychic anti-entropy state by utilizing a meme of study patterns.

저자
  • 신종천(숭실대학교 대학원 미디어학과) | Jongcheon Shin
  • 윤준성(숭실대학교 대학원 미디어학과) | Joonsung Yoon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