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제주지역에서 Bermudagrass, Bahiagrass 및 Teff Grass의 품종별 생육특성, 생산성 및 사료가치 비교 KCI 등재

Comparison of Growth Characteristics, Productivity and Feed Composition of Bermudagrass, Bahiagrass and Teff Grass in Jeju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951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동물자원연구 (Annals of Animal Resources Sciences)
강원대학교 동물자원공동연구소 (Institute of Animal Resour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초록

본 연구는 2014년 7월부터 2015년 9월까지 제주 한국마 사회 제주육성목장(해발 450m) 시험포장에서 여름 동안 생산성이 유지될 수 있는 남방형 목초를 도입하여 재배에 이용하기 위하여 Bermudagrass 품종(Cynodon dactylon (L.) Pers. : Giant, Cheyene, Mohawk, Panchero Frio, Common) 과 Bahiagrass 품종(Paspalum notatum : TifQuik, Tifton 9, Argentine), 그리고 Teff grass(Eragrostis tef : Tiffany) 품종 의 생육특성 및 건물 수량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실험설계는 품종을 처리로 10처리 3반복 난괴법으로 배치 하였다. 1차년도 1차 수확은 8월 31일, 2차 수확은 9월 21일이며 2차년도 1차 수확은 7월 22일, 2차 수확은 8월 14 일, 3차 수확은 9월 11일로 성장단계를 고려하여 수확하였 다. 1차년도 남방형 품종의 건물 수량은 Teff grass의 Tiffany가 산파와 조파 각각에서 2.59와 2.00Ton/ha로 가 장 높은 건물수량을 나타내었으며, Bermudagrass의 Common이 산파에서 1.21Ton/ha로 다년생 남방형 목초 중 가장 높은 수량을 나타내었다. 2차년도 남방형 품종의 건물 수량은 Bahiagrass의 Tifton9이 산파에서 15.06Ton/ ha로 가장 높은 수량을 나타내었으며 Bahiagrass의 Tifquik이 산파에서 14.68Ton/ha로 두 번째로 높은 수량을 나타내었다. 조단백질 함량은 Bahiagrass의 Argentine이 19.7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NDF 함량은 Bermudagrass 의 common이 61.69%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해 에 의한 피해의 경우 대부분의 Bermudagrass 품종의 경우 에 동절기 적응성이 떨어졌으나 Bahiagrass의 Tifton 9 품 종의 경우 한해에 대한 피해를 거의 받지 않았으며 출현, 내병성, 내습성, 도복성은 품종 간 차이가 거의 없었으며 Teff grass의 Tiffany이 도복과 습해에 의한 피해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제주지역에서 Bermudagrass와 Bahiagrass의 일부 품종은 월동할 수 있어 여름철 조사료자 원으로 활용이 가능하지만, 품종 간 내한성 능력과 재생능 력이 다르므로 이를 고려하여 품종을 선택할 필요가 있다.

Pers.: Giant, Cheyene, Mohawk, Panchero Frio, Common), three Bahiagrass cultivars (Paspalum notatum: TifQuik, Tifton 9, Argentine), and one Teff grass cultivars (Eragrostis tef: Tiffany) by using broadcast and drill seeding method for each species in the experimental field (450 m altitude, Gyorae-ri Jochon-eup, Jeju) in order to cultivate warm season grasses as forage during summer season. Teff grass and Bermudagrass showed healthy germination and emergence after the seeding but Bahiagrass showed average germination and emergence in terms of growth after seeding. Broadcast seeding was more productive than drill seeding in all the species when the quantity was compared. The investigation on freeze damage of southern grasses during the winter revealed that, in case of Bermudagrass, Giant could not survive in winter in the experimental field that has altitude of 450 m but Cheyene, Mohawk, Panchero Frio and Common could survive in winter even though it had substantial cold-weather damage. In case of Bahiagrass, there were minimal freeze damage in TifQuik and Tifton 9 but it was severe in Argentine. The investigation on productivity of species after wintering revealed that TifQuik and Tifton 9, a species of Bahiagrass, had the highest productivity in comparison to all the other species. Therefore, an adequate species of grass should carefully be selected when cultivating warm season grasses as forage and grazing pasture for summer season.

저자
  • 김범준(제주대학교) | Bum Jun Kim
  • 김영진(제주대학교, 한국마사회) | Young Jin Kim
  • 임석주(제주대학교) | Suk Ju Im
  • 장채연(제주대학교) | Chae Yeon Jang
  • 강영훈(한국마사회) | Young Hun Kang
  • 최한호(한국마사회) | Han Ho Choi
  • 황경준(한국항공) | Kyung Jun Hwang
  • 김시현(한농바이오(주)) | Si Hyun Kim
  • 채현석(국립축산과학원) | Hyun Seok Chae
  • 이왕식(제주대학교) | Wang Shik Lee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