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ative Analysis of the Traditional paper flower of Korea, China, and Japan in the East Asia
본 논문에서는 동아시아 삼국의 전통지화의 기원을 고찰하고, 대표적인 사례를 통해 문화적 전승과 변용의 현상을 비교하여 그 유사성과 차이를 살 펴본다.
불교의식에서 지화를 공양하게 된 기원은 불설우란분경(佛説盂蘭盆經) 에 근거하여 돌아가신 선조의 구제를 위한 의식에서 조화(造花)를 공양했던 것에서 비롯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현재는 지화가 장식용이나 무속의식을 위한 용도로도 제작되지만 원래는 불교의식에서 기원한 사례들이 많이 확인된다. 또한 추운 겨울이 있는 동아 시아 기후의 특성상 사시사철 꽃을 공양하기 위해서 지화가 활발하게 만들 어졌으리라는 점을 짐작해볼 수 있다.
중국의 경우에는 불교의식에서 비롯된 지화의 쓰임이 점차 민간신앙의 영 역까지 확대되면서 주술적인 의미를 담지하게 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착지화와 전지화의 사례를 통해 기능의 확대가 종류와 형태의 다양화를 불 러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방암지화의 경우에는 한국의 전통지화와 제작 기법과 형태면에서 가장 유사한 것으로 보인다.
일본의 시카바나의 경우에는 현지 민속학자들도 아직 명확한 결론을 내지 못한 상태이긴 하지만 불교의 고사를 재해석하여 장례민속에 적용하거나, 일본 특유의 ‘결계(結界)’관념을 도입한 것으로 짐작해 볼 수 있다.
한국의 전통지화는 기본적으로 굿당이나, 불당, 혹은 잔칫상을 장식하는 기능을 하고 있으며, 의식에 쓰일 때는 신앙적 의미를 갖고 있지만, 의식이 끝난 후에는 주술성을 담지하는 장식물로 사용되었다. 또한 윤회매(輪回梅) 의 경우에는 고담한 장식성이 강조된다. 이러한 장식적 기능과 신앙적 상징 성이 지화의 본질적 성격으로 생각된다.
This dissertation analyzes the origins of Jeontongjeewha in three Eastern Asian countries of Korea, China, and Japan. I also discus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se three by comparing the cultural transmissions and modifications of Jeontongjeewha through some representative examples.
In the Buddhist ritual, the origin of offering Jeewha goes back to the ritual of offering artificial flowers for the salvation of dead ancestors, which is based on the Ullambana Sutra.
While at the present time Jeewhas are produced mostly for decoration purpose or Shamanistic rituals, we see many cases that they in fact originated from the Buddhist rituals. We can also conjecture that Jeewha production was especially active in the Eastern Asian countries with cold winters so that people can offer flowers throughout the seasons.
In China, Jeewhas, whcih originated from the Buddhist ritual, gradually expanded to the private religious spheres, and in this process they acquired magical significance. Through the cases of Chakjeewha and Jeonjeewha, we can also note that the expansion of functions resulted in the diversification of the forms. For instance, in the case of Bangamjeewha, Chinese style shows significant similarity with the Korean Jeontongjeewha in their production techniques and forms.
For Japanese Sikavana, even the Japanese folklorists have not yet come to a clear conclusion about its origin. It however seems to be a reinterpretation of Buddhist Gosa and application of it to the folk burials.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Japanese indigenous concept of “defensive boundary (Gyeol-Gye)” was applied for the Sikavana.
The basic function of Korean Jeontongjeewha is to decorate Shamanistic temples, Buddhist temples, or celebration tables. When it is used in the sacred rituals Jeontongjeewha bears religious significance. Outside the ritual context, it is mainly used as a decorative object which embodies some magical nature. In the case of Yoonhoemae, its restrained decorativeness is especially stressed. These decorative functions and religious significance seem to be the fundamental natures of Jeewh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