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바로크 2부 형식에 대한 쉔커식 분석 접근 - 기존 분석의 재해석 KCI 등재

A Schenkerian Analysis Approach to the Baroque Binary Structure - A Reinterpretation of an Existing Analysi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982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100원
음악이론포럼 (Music Theory Forum)
연세대학교 음악연구소 (Yonsei University Institute of Music Research)
초록

본 논문에서는 비치의 저서에서 분석의 모델이 된 바흐의 《바이올린 파르티타, 제1번》, ‘사 라방드’ 악장과 관련하여, 다른 음악적 해석을 제시하였다. 작품의 분석에 앞서 비치의 저서 『고급 쉔커식 분석; 악구 리듬, 모티브, 형식의 관점에서』중에서 특히, 바로크 단순 2부 형식에서 나타나 는 구조와 선율의 특징에 대해 검토하였다. 이후, 비치의 저서에서 분석된 바흐의 《바이올린 파르 티타, 제1번》, ‘사라방드’의 쉔커식 분석 그래프를 바탕으로, 각각의 화음들이 가지고 있는 기능들 을 구체화하고, 보다 음악적인 화성 연결과 선율진행을 찾아내어, 그의 분석 그래프를 보완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비치의 분석 그래프와 동일하게  를 시작음으로 하는  - - - - 의 근본선율이 완 성 되었다. 그러나 구조음  은 비치의 그래프에서 제시된 곳과는 다른 위치에서 시작되고 있으며, 구조음 중 하나인  는 그의 해석과는 다른 방법으로 연장 되었다. 또한 작품의 유기적 통일성과 응집력을 더하는 근본구조 유사성 등의 특징 등이 본 논문에서 새롭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악곡을 형성하고 있는 근본선율은 동일하다. 그러나 근본선율의 구성음을 연장하 는 각 화음들의 기능을 다른 음악적 흐름으로 해석함으로써, 비치의 분석 그래프와 다른 해석이 도 출되었다.

This paper presents another Schenkerian musical interpretation different from one by David Beach in his book. The music in question is Sarabande movement in Bach's Violin Partita 1. Prior to a harmonic/melodic analysis of Sarabande movement, First I reviewed the structures and the features of melodies in Baroque Simple Binary Form from the Beach's book called "Advanced Schenkerian Analysis: Perspectives on Phrase Rhythm, Motive and Form". After that, I have tried to reinforce his analytic graph by detecting more rational chord connections and melody line, and also by embodying functions each chords have, based on his graph which interpreted Bach's Sarabande using Schenkerian theory.
As a result, the fundamental line of  - - - - , which started from  as a primary tone is identical to his analytic graph work. But,  in the fundamental structure started from where to be different from Beach's graph had pointed out, and prolongation of  as one of the fundamental structure tone is prolonged in a different way than his interpretation as well. Further, some characteristics such as Ursatz parallelism that brings organic unity and cohesiveness started to be seen as well. Consequently, the fundamental line that makes tune was identical, but a different interpretation came out by considering function of each chords in different harmnic context.

저자
  • 박희라 | Hee La P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