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초기 부적응 도식, 정서조절곤란, 그리고 SNS 중독의 관계 KCI 등재

The Relationship Among Early Maladaptive Schema, Emotional Dysregulation, and SNS Addic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996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감성과학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한국감성과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초록

심리치료의 궁극적인 목표는 특정한 심리적 문제를 유발하는 근본적 원인을 파악하여 이를 수정하고 변화시키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관점에서 최근 사회적 문제로 급부상하고 있는 SNS 중독의 근본 원인을 파악해서 향후 심리치료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선행 연구 개관을 통해서 부적응적 자기개념(예: 낮은 자기존중감), 부적응적 성격 특성(예: 강한 자기애), 그리고 강한 부정적 정서 경험(예: 높은 수준의 불안)이라는 SNS 중독의 표면적 원인을 파악하였다. 이후 본 연구는 선행 연구 개관을 기반으로 이들 표면적 원인 기저의 근본적 원인으로 인지적 차원의 초기 부적응 도식과 정서적 차원의 정서조절곤란을 도출하고 ‘초기 부적응 도식 → 정서조절곤란 → SNS 중독’이라는 심리적 부적응 기제를 개념적으로 제안하였다. SNS 중독의 고위험군인 20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를 실시한 결과, 20대 여성 집단에서 이와 같은 심리적 부적응 기제가 나타났지만 20대 남성 집단에서는 ‘초기 부적응 도식 → SNS 중독’의 관계만 유의미한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 결과는 20대 남녀의 초기 부적응 도식에 대한 인지치료 나 20대 여성의 정서조절곤란에 대한 정서치료가 SNS 중독 치료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다는 함의를 제공한다.

The ultimate purpose of psychotherapy is to identify covert causes of a psychological problem and then to modify and change the causes. The goal of this study is also to make contribution to SNS addiction intervention program development through exploring the covert causes of SNS addiction which recently became social issue. Previous research identified such overt causes of SNS addiction as maladaptive self-concept (e.g., low self-esteem), maladaptive personality (e.g., strong narcissism) and strong negative emotions (e.g., high level of anxiety). Based on previous research, the study explored early maladaptive schema (i.e., cognitive dimension) and emotion dysregulation (i.e., emotional dimension) as the covert causes of SNS addiction and conceptually developed psychological maladaptive mechanism of ‘early maladaptive schema → emotion dysregulation → SNS addiction.’ As a result of a survey with respondents in their 20’s who are at high risk for SNS addiction, the mechanism was confirmed for females. However, a significant relationship of ‘early maladaptive schema → SNS addiction’ was found for males. The findings offer an implication that interventions of early maladaptive schema for males and females in their 20’s and interventions of emotion dysregulation for females in their 20’s can fundamentally help cure their SNS addiction.

저자
  • 김수성(전북대학교 심리학과) | Sue-Sung Kim
  • 이영순(전북대학교 심리학과) | Young-Soon Lee
  • 강정석(전북대학교 심리학과) | Jungsuk Kang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