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고해상도 KOMPSAT 시리즈 이미지를 활용한 서해연안 습지 변화 모니터링 KCI 등재

West seacoast wetland monitoring using KOMPSAT series imageries in high spatial resolu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30996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한국수자원학회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초록

대한민국 서해안의 4개 갯벌에 대한 변화 탐지를 위해 다중분광 고해상도 다목적 위성인 KOMPSAT 시리즈 영상 자료를 분석하였다. 무감독 분 류법을 이용하여 고해상도 위성 이미지에서 생성된 토지이용 및 토피피복 지도의 활용성과 연안 습지 변화의 경향을 결정할 때 시간 궤적 분석과 통합된 변화 탐지 방법론을 평가했다. 자연 현상과 인위적 활동에 대한 토지이용 및 토지피복 변화 분석을 통해 갯벌면적을 추출하고, 양질의 주제 지도를 제공하기 위한 고해상도 KOMPSAT 데이터의 실질적인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경기도와 전라북도의 갯벌 지역은 조석 차에 영향으로 면적 변화가 나타난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새만금 지역의 갯벌지역은 대규모 매립 및 도시화로 인한 인위적 활동에 따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 라남도 증도 갯벌지역의 경우 연안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되어 연안 갯벌 보전에 대한 사회적, 환경적 정책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고해상도 KOMPSAT를 이용한 습지변화 모니터링은 연안환경 관리 및 정책결정을 위해서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A series of multispectral high-resolution Korean Multi-Purpose Satellite (KOMPSAT) images were analyzed to detect the geographical changes in four different tidal flats in the west coast of South Korea. The method of unsupervised classification was used to generate a series of land use/land cover (LULC) maps from the satellite images, which were used as the input of the temporal trajectory analysis to detect the temporal change of coastal wetlands and its association with natural and anthropogenic activities. The accurately classified LULC maps extracted from the KOMPSAT images indicate that these multispectral high-resolution satellite data is highly applicable to generate good quality thematic maps for extracting wetlands. The result of the trajectory analysis showed that, while the tidal flat area of Gyeonggi and Jeollabuk provinces was estimated to have changed due to tidal effects, the reductive trajectory of the wetland areas belonging to the Saemangeum province was caused by a high degree of human-induced activities including large reclamation and urbanization. The conservation of the Jeungdo Wetland Protected Area in Jeollanam province revealed that the social and environmental policies can effectively protect coastal wetlands from degradation. Therefore, monitoring for wetland change using high resolution KOMPSAT is expected to be useful to coastal environment management and policy making.

저자
  • 최민하(성균관대학교 수자원전문대학원) | Choi, Minha (Graduate School of Water Resources, Sungkyunkwan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 김성균(성균관대학교 수자원전문대학원) | Kim, Seongkyun (Graduate School of Water Resources, Sungkyunkwan University)
  • 김다은(성균관대학교 수자원전문대학원) | Kim, Daeun (Graduate School of Water Resources, Sungkyunkwan University)
  • 선우우연(성균관대학교 수자원전문대학원) | Sunwoo, Wooyeon (Graduate School of Water Resources, Sungkyunkwan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