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박카스’ 상품의 TV CF 수용자 정보처리 연구 - 나를 아끼자 ‘콜센터편’ 을 중심으로 - KCI 등재

A Study of ‘Bacchus’ TV CF with a Consumer Information Processi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32243
  • DOIhttps://doi.org/10.18555/kicpd.2017.50.22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Journal of Cultural Product & Design)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Korean Institute of Cultural Product Art & Design)
초록

TV CF는 방송 프로그램의 시작과 중간 또는 끝 부분에 간단명료하게 메시지를 전달해야하는 절제된 영상으로, 수용자들 은 이를 통해 시장에 존재하는 제품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어려운 판단의 기준으로 삼는다. 박카스는 오랜 기간 동안 TV광고를 통하여 상품이 아닌 시대의 트렌드를 반영하며 수용자들에게 공감과 찬사를 얻고 있으며 국민 광고로서 확고한 지위를 갖고 있다. 지난 2016년 3월부터 시작한 박카스의 새로운 캐페인 ‘나를 아끼자’의 ‘콜센터편’ ‘좋더라편’ ‘아껴서편’ 그리고 ‘생일파티편’까지 총 4편의 TV CF는 20대 젊은 세대들에게 위로와 응원의 메시지를 희망적으로 전달하였는데, 특 히 ‘콜센터편’은 이 시리즈의 첫 작품으로 광고 시작 1년 6개월이 지금까지도 계속해서 수용자들에게 회자되고 기억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콜센터편’을 통하여 박카스 광고의 성공 이유와 차별점이 무엇인지를 살펴보고, 소비자 행동 이론을 모태로 한 수용자 정보처리과정을 활용하여 연구의 분석을 시도하고 있다. 수용자 정보처리 과정(Information Process)은 우연적이든 의도적이든 수용자가 노출된 광고에 주의를 기울이고 그 내용을 이해하여 새로운 신념이나 태도를 형성하거나 변화시키는 과정을 노출, 주의, 이해, 기억의 4단계로 구성하고 있다. 연구의 구성은 우선 수용자의 정보처리의 요인과 이 론적 논의를 진행하고, 이어서 ‘콜센터편’을 각각 노출, 주의, 이해, 기억의 단계로 세부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마지막 장에 서는 이를 통해서 수용자의 의사결정과정과 저장된 기억이 상품의 브랜드 이미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확인하고, 더불 어 수용자 정보처리과정이 TV광고의 분석 도구로서의 가능성을 살펴보고 있다.

Television commercial film as a controlled image deliver message simply on first or end of TV program and consumer mostly take product information and have guidance in right way through TV CF. The ‘Bacchus’ has high reputation placed with empathy and recognition and it always provided a trend of ages rather then product itself with the long period of TV advertising. In march 2016, the ‘Bacchus’ has launched new campaign contained cheering and hopeful message to young age of 20’s and it named ‘looking after myself’ which has four short films series ‘call center’ ‘like’ ‘take care’ and ‘birthday party’. Especially, ‘call center’ CF as first show on TV is still many people remember and talk over and over after one year and six month. In this research, I try to find the reason why the most of ‘Bacchus’ TV advertising success through the ‘call center’ CF and will analysis for consumer information processing based on consumer behavior theory. Consumer information processing has composed four step such as exposure, attention, comprehension, memory which make changes consumer’s behavior or belief with understanding and attention through exposure TV commercial film. For this research, firstiy I will try to study to the information process theory with information source and then will do analyzing details of exposure, attention, comprehension, memory using ‘call center’ CF. The end of this research, I will proof that how it make influence to brand image through the consumer’s saved memory and information process and also will try to make sure the possibility of analysis instrument for TV advertising using consumer information process.

목차
1. 서론
2. 수용자의 정보처리과정
3. 정보처리과정에 의한 TV광고 분석
4. 결론
REFERENCES
저자
  • 김성호(중원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교수) | Kim, Seong Ho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