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참치 양식: 욕지도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 및 부침식 가두리 적정 침강수심

Bluefin tuna (Thunnus thynnus L.) aquaculture in Yokgido, Tongyeong: Fluctuation of phytoplankton and Reasonable sinking depth in floating cag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34754
모든 회원에게 무료로 제공됩니다.
해양환경안전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초록

본 연구는 경남 통영 욕지도에 참치양식용 내파성 가두리 설치시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 발생에 대한 적정 침강 깊이를 설정하기 위하여 24시간 수직이동 조사를 실시했다. 또한 6년 동안의 욕지도 근해해역에 대한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를 분석하여 참치양식의 성공을 위한 기초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욕지도 근해의 식물플랑크톤 총 세포밀도는 월별에 따라 매우 큰 변동폭을 보이고 있으며, 대부분 규 조류가 우점종으로 출현하고 있다. 여름철 와편모조류의 종 조성을 보면 Gymnodinium sp.가 총 19회로 가장 많은 출현 횟수를 보였고, 특히 C. polykrikoides도 총 8회로 나타났다. 또한 Karenia brevis 및 Fibrocapsa japonica와 같은 유독성 적조생물도 출현되어 본 지역에 대한 식 물플랑크톤 모니터링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일출과 일몰에 따른 Chl-a 및 총 세포수도 일치한 결과를 보여 부침식 가두리 양식장은 표층으 로부터 3-5 m 정도 침강시키는 것이 효율적인 깊이로 나타났다.

We have cultured the bluefin tuna in Yokgodo, Tongyeong under floating cage where was vulnerable to harmful dinoflagellate, Cochlodinium polykrikoides. This study carried out a vertical migration of phytoplankton and Chl-a for reasonable sinking depth. Furthermore, we analyzed the fluctuation of the phytoplankton occurring in Yokgido for 6 years. Total cell densit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month and the most of the dominant species was diatoms. Gymnodinium sp. was the greatest number of 19 times than any of other dinoflagellates during summer. In particular, The occurrence of number in C. polykrikoides was a total of 8 times and Karenia brevis/Fibrcapsa japonica, harmful dinoflagellates, was occurr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l-a/total cell number and sunset/sunrise was well agreed and reasonable sinking depth in floating cage was 3-5 m.

저자
  • 조은섭(남서해수산연구소, 국립수산과학원) | Eun-Seob Cho (Southwest Sea Fisheries Research Institute, NFRDI, Yeosu 556-823, Korea) Corresponding author
  • 황형규(남서해수산연구소, 국립수산과학원) | Hyung-Kyu Hwang (Southwest Sea Fisheries Research Institute, NFRDI, Yeosu 556-823,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