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모바일 게임 플랫폼에서의 시그널의 유형과 시그널을이용한 의사결정과정 KCI 등재

Signal Typology and Decision Making Process Using Signals in Mobile Game Platfor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3497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한국게임학회 (Korea Game Society)
초록

본 연구는 모바일 게임 플랫폼에서 게임 품질에 대한 정보의 비대칭을 해결하기 위해 게임이용자들이 사용하는 시그널에 대한 질적 연구이다. 시그널 이론을 바탕으로 인터넷 문화기술지 방법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로 시그널 유형에는 플랫폼 기반의 소비자 참여도가 높은 시그널, 플랫폼 기반의 소비자 참여도가 낮은 시그널, 게임회사 기반의 소비자 참여도가 높은 시그널, 게임회사 기반의 소비자 참여도가 낮은 시그널이 있다. 시그널을 이용한 게임 이용자들의 의사결정의 특징은 첫째, 순위와 다운로드 수는 게임이용자들의 판단의 기준이 되며 둘째, 게임 마케팅 플랫폼은 또 하나의 시그널이 될 수 있으며 마지막으로 게임이용자가 선호하는 시그널은 게임이용 목적이나 행태에 따라 다르다는 것이다.

This research is the qualitative research on signals that mobile game users use to solve asymmetric information of game quality. Based on signal theory, we gathered data using Netnography. The findings are four types of signals for mobile games: platform-based signals with high/low participation rate of consumers, game developing company-based signals with high/low participation rate of consumers. The features that mobile gamers make decisions using signals are the following. First, ranking and the number of download have initial standard. Second, game marketing platform can be one of signals. Finally, the preference of signals is different with the goals and using pattern of games.

저자
  • 배준희(경북대학교 경영학부) | Joonheui Bae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구동모(경북대학교 경영학부) | Dong Mo Koo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