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초등 무용창작수업 과정 연구 - 미국 뉴욕의 초등무용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KCI 등재

Teaching Creative Dance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 A Case Study for a Creative Dance Class in New York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3618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400원
한국무용기록학회지 (The Korean Research Journal of Dance Documentation)
무용역사기록학회 (The Dance Society for Documentation & History)
초록

아동의 창의성 계발에 관한 관심과 교육적 접근은 다양한 학술 및 예술분야에서 활발하게 이 루어지고 있다. 경험으로서의 교육, 즉 전공자 위주의 교육이 아닌 비전공자가 움직임을 만들고 이를 공연으로 올리는 과정에 중점을 둔다. 무용분야에서도 아동의 창의력과 상상력 발달을 위 해서 무용창작수업을 다양한 교육기관에서 시행하고 있다. 이는 한국뿐 아니라 미국에서도 활발 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도 계속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무용교육에서 지향하고 있는 창의성과 관련한 무용수업을 살펴보고자 한 다. 이에 따라 무용창작수업의 절차, 교수전략 및 동기부여 등 아동의 무용창작수업과 관련한 이론적 배경을 제공한다. 또한 미국 뉴욕시의 한 초등학교 5학년 무용창작수업을 사례로 소개하 고 있다. 선행연구, 수업 계획서, 수업참관, 그리고 교사와의 인터뷰를 분석하여 연구 자료를 수 집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첫째, 무용창작수업에 사용되는 정형화된 구조를 파악할 수 있다. 둘째, 무용창작 수업의 내용이 공연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수업사례를 통해 이해할 수 있다. 셋째, 무 용창작수업이 활성화를 위해 시행되고 있는 미국의 아웃리치 프로그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미국의 무용창작수업 사례를 통해 무용창작수업에 대한 실질적인 이해와 다양한 아웃리치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와 실천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주요어 무용창작수업,

Currently, dance programs for developing students’creative capacity have been increased. In addition, there has been much research about a creative dance curriculum, a teacher’s perception or an efficacy of creative dance, etc. For example, von Rossberg-Gempton, Irene Elisabeth’s dissertation(1998) which is creative dance: potentiality for enhancing psychomotor, cognitive, and social-affective functioning in seniors and young children showed that creative dance can enhance physical, social, and emotional growth in children and frail adults. Moreover, Senft Miller, Erick Dietlinde(1999) explored children’s creative dance through the lens of play. This study contributed to reveal the inside view of how teachers understood and negotiated their roles in building and guiding the creative dance class experience. This study identifies how creative dance classes are taught and what teaching procedures are used in creative dance classes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is study also focuses on how a dance performance is created by children and how to introduce creative processes to children in their local community.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creative dance, this study presents the format of a creative dance class and the structure of outreach dance programs by information in the public domain. The findings indicated that creative dance teachers teach children in a formalized format using creative dance activities, and lead children in creating a dance performance. Moreover, to enhance creative processes, outreach dance programs can be executed by both teachers and students.

목차
국문요약
Ⅰ. Introduction
1. Purpose of the Study
2. Limitations and Delimitations
Ⅱ. Review of Literature
1. The Significance of Creative Dance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2. Teaching Strategies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a Creative Dance Class
Ⅲ. Methodology
1. Participant
2.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Ⅳ. Findings
1. The Procedure of the Creative Dance Class
2. Teaching Strategies and Motivation
Ⅴ. Discussion
1. Developing Creative Dance Activities based on a
Format
2. Creating Dance from the Class to a Performance
3. Activating Outreach Dance Programs for Children
Ⅵ. Conclusion
References
Abstract
저자
  • 정재임(이화여자대학교 무용학과 박사과정) | Chung, Jae-Im (Ewha Womans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