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함평 월산리 한국식동검 원료와 산지 추정 KCI 등재

Study on raw Material and Provenance of Korean type bronze dagger Excavated from Hampyeong Woolsanri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3775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800원
韓國靑銅器學報 (한국청동기학보)
한국청동기학회 (Society for Korean Bronze Culture)
초록

함평 월산리 유적은 전라남도 함평군 학교면 월산리 답854 일대에 위치한다. 이 유적의 발굴조사는 2002년 12월부터 다음 해 3월까지 동신대학교에서 실시하였다. 이 유적에서 출토된 한국식동검은 2016년 국립나주박물관 특별전시《보존과학 우리문화재를 지키다》에 전시하기 위해 보존처리 되었다. 그 과정에 서 XRF 분석을 통해 동합금조성을 확인하고 납동위원소비 분석을 통해 산지 추정을 하여 한국식동검의 제작기술과 청동문화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2점으로 수습된 동검은 성분 조성이 유사하였다. 구리, 주석, 납의 합금으로 확인되었으며, 소지 금속 부분의 함량은 각각 50.05, 18.14, 6.78wt.%와 64.04, 18.40, 5.91wt.%로 나타났다. 제작법을 확인하기 위해『주례고공기周禮考工記』의 금지육제金之六齊와 비교한 결과, 자르는 용도에 따른 합금비를 고려하여 제작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산지 추정은 동북아시아와 한반도 남부 분포도의 선행 연구된 결과에 대입하여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한반도 남부의 북동부 영남육괴, 동부 태백산 분지영역에 해당하며, 이에 속하는 강원도, 경상북도 일대에서 채취된 방연석이 원료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추정된 산지와 동검이 출토 된 함평 월산리는 지리적으로 거리가 있다. 원료의 재사용 가능성도 있지만 원료 혼합 시 나타나는 분석 결과와 차이가 있어 다른 지역의 원료를 사용하여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더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미량원소 분석을 통한 광물학적 및 고고학적 추가분석이 다각도에서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The Woolsan-ri site is located at 854 Hakgyo-myeon, Hampyeong-gun, Jeollanam-do, Republic of Korea. It was excavated by Dongshin University from December 2002 and will continue until March next year. The Korean type bronze dagger, which was excavated in the Woolsan-ri site, has been preserved to be displayed at the Special exhibition at Naju National Museum in 2016. In the process, we investigated that the production techniques and analyzing consumption of lead for provenance research for analysis on the dagger composition of copper alloy by XRF and lead isotope ratio TIMS. The dagger were composed of copper, tin and lead. The content indicated 50.05, 18.14, 6.78wt.% and 64.04, 18.40, 5.91wt.%. To confirm the fabrication method, the documentary was compared with the records of the journal“Zhouli Kaogongji”. A s a r esult, i t w as c onfirmed that it is manufactured with the copper and tin content using alloy of bronze materials. The content of tin was found to vary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 analysis location. The provenance study was conducted by comparing the results of the research in Northeast Asia and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 As a result, it is likely to be used in the Northeastern region of Yongnam massif and the eastern Taebaek basin in the southern part of the peninsula, which is believed to have used galena ore from the area in Gangwon Province and North Gyeongsang Province. The provenance study site Hampyeong-gun Wolsanri where the bronze dagger found is geographically with distance to the place of the manufacturing area and the place of the bronze lead raw materials there are tendency that they used other area’s tin or reused the other existing materials. Natural science and humanistic analysis will be needed.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연구대상
  2. 보존처리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Ⅲ. 결론
 참고문헌
저자
  • 유자영(국립청주박물관 학예연구실) | Jayoung Yoo (Curatorial Affairs Office, Cheongju National Museum)
  • 이혜진(국립나주박물관 학예연구실) | Hye Jin Lee (Curatorial Affairs Office, Naju National Museum)
  • 용병주(해남 공룡박물관) | Byoung Ju Yong (Haenam Dinosaur Muse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