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국 산업혁신연구의 현황과 과제 KCI 등재

Sectoral Innovation Studies: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Its Implication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3841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9,000원
기술혁신연구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기술경영경제학회 (The Korea Society for Innovation Management & Economics)
초록

한국이 산업혁신에 성공한 대표적인 국가의 하나로 주목받아 혁신연구의 사례로 연구되기 시작한 이래 30여 년이 되어 가고 있다. 그간 한국의 산업혁신에 관한 연구는 성공적 산업 추격을 진화적 관점에서 이해하는 데 초점이 맞추어져 왔다. 성공적 추격을 위한 진입전략, 추격을 가능하게 한 학습의 메커니즘 등에 관한 다양한 연구들이 수행되었다. 그러나 최근 추격체제의 성장 잠재성이 한계에 이른 여러 징후들이 나타남에 따라 새로운 관점 의 산업혁신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이제까지의 한국 산업혁신 연구를 주요 연구주제별로 리뷰하고, 현재의 상황변화에 비추어 앞으로 요청되는 연구주제를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특히 한국의 산업혁신 연구를 산업혁신시스템과 추격이라는 두 가지 관점을 기반으로 추격국 산업혁신의 특성 및 패턴, 기술능력 축적과 추격과정, 추격혁신과 제도, 성장동학의 형 태 등을 중심으로 기존 연구성과를 리뷰했다. 또한 한국 산업혁신의 진화적 특성, 산업의 기술적 특성과 추격의 용이성, 산업혁신에서의 제도의 중요성, 산업혁신의 지향성 등의 논점을 중심으로 기존 연구성과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기존 연구성과의 검토와 현재 한국 산업 혁신이 직면한 환경 변화를 고려하여 향후 국민경제 차원에서 산업혁신 고도화에 대한 고찰 필요성, 산업혁신 고도화와 전환 가능성, 추격의 그늘에 대한 검토 필요성, 산업혁신의 비기 술적 요인에 대한 검토와 산업혁신연구에서의 다양한 가치의 통합 필요성 등을 중심으로 향후 연구과제를 도출하였다.

This article offers a review of the major literature about sectoral innovation studies of Korea and its implications over the past 30 years. The literature on the sectoral innovation studies in Korea has focused on analysing successful technological catch-up from an evolutionary perspective and most of research has centered on the issues about entry strategies, learning mechanisms. Recently “Emerging economies” like Korea in the 2000s face major challenges as they make a transition from (a) a phase of economic development characterised by ‘catching up’ with the global technological frontier, involving technological “imitation”, to (b) a phase of continuing development based on the development of new knowledge for globally leading (post catch-up) product and process innovation. This paper reviews those bodies of literature of patterns of sectoral innovation, technological capability accumulation and catch-up process, catch-up innovation and institutions, and patterns of growth dynamics. Finally, given the importance of sectoral innovation studies, we suggest that industrial upgrading, transition towards leadership, dark side of catch-up issues are needed for future research directions.

목차
Ⅰ. 서론
 Ⅱ. 한국의 산업혁신연구 리뷰의 관점과 주요 질문
  1. 한국의 산업혁신연구 리뷰의 관점
  2. 주요 연구질문
 Ⅲ. 한국 산업혁신연구의 진화과정과 주요 이슈별 검토
  1. 추격국 산업진화의 메카니즘: 학습과 능력축적
  2. 추격국 산업진화의 패턴: 추격의 경로와 주기 이론
  3. 산업의 기술적 특성과 추격의 용이성: 추격국의 산업특화
  4. 성장동학: 추격을 넘어 탈추격 (Post Catch-up)으로
 Ⅳ. 한국 산업혁신연구 주요 이슈별 비판적 검토
  1. 한국 산업혁신의 진화적 특성
  2. 산업의 기술적 특성과 추격의 용이성
  3. 산업혁신에서 제도의 중요성
  4. 산업혁신의 지향성: 추격 vs. 탈추격
 Ⅴ. 향후 연구 과제 및 방향성
  1. 국민경제 차원에서의 산업혁신 고도화에 대한 고찰
  2. 산업혁신의 고도화와 전환가능성
  3. 추격의 그늘(dark side)에 대한 검토의 필요성
  4. 산업혁신의 비기술적 요인에 대한 검토
  5. 산업혁신연구에서의 다양한 가치의 통합
  참고문헌
저자
  • 정재용(KAIST 경영대학 기술경영학부 교수) | Jae-Yong Choung
  • 황혜란(대전세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Hye-Ran Hwa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