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집중도 지수를 활용한 HNS 사고 대비 우선지역 선정 KCI 등재

Setting of Regional Priorities in Preparedness for Marine HNS Spill Accident in Korea by using Concentration Index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38872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Journal of Korean Navigation and Port Reserch (한국항해항만학회지)
한국항해항만학회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초록

위험·유해물질(HNS) 유출사고를 대비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지역별 산업 집중도를 지수화하여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쓰이는 집중도지수를 활용하여 HNS 사고의 지역별 집중도를 확인하였다. 이는 HNS를 포함한 해양 유출사고 데이터를 바탕으로 HNS 사고 규모 집 중도지수와 HNS 사고 빈도 집중도지수를 수치화하여 하나의 값인 HNS 사고 집중도지수를 제시하는 방식이다. 도출된 지역별 HNS 사고집 중도 지수값를 바탕으로 울산을 HNS 대비 최우선 지역, 여수, 부산, 태안을 HNS 대비 우선지역, 군산, 목포, 완도, 인천, 통영, 평택, 포항을 HNS 대비 필요지역, 그 밖에 해양유출사고가 발생하지 않은 동해, 보령, 부안, 서귀포, 속초, 제주, 창원을 HNS 대비 지원지역으로 그룹화하 여 대비측면의 우선순위를 설정하였다.

The concentration of the HNS Accident for each region was confirmed to prepare against an HNS Spill accident by using a Concentration Index which is used to assess industry concentration trend. This is to present the HNS Accident Concentration Index by combining HNS Accident Scale Concentration Index and an HNS Accident Frequency Concentration Index based on the data of marine spill accidents including the HNS accident. Based on the HNS Accident Concentration Index, Ulsan was identified as a top priority region for preparedness, Yeosu, Busan and Taean were identified as priority regions for preparedness, Gunsan, Mokpo, Wando, Incheon, Tongyeong, Pyeongtaek and Pohang were identified as necessary regions for preparedness, Donghae, Boryeong, Buan, Seogwipo, Sokcho, Jeju and Changwon, in which no marine spill accidents occurred, were identified as support regions for preparedness.

목차
1. 서 론
 2. 이론적 배경
  2.1 HNS 유출사고 발생 현황
  2.2 집중도지수
 3. HNS 유출사고 집중도지수 개발
  3.1 HNS 유출사고 집중도지수
  3.2 적용
  3.3 결과 및 고찰
 4. 결 론
 후 기
 References
저자
  • 이은방(한국해양대학교 해양경찰학과 교수) | Eun-Bang Lee (Dept. of Coast Guard Studies, Korea Maritime & Ocean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 이문진(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 Moon-Jin Lee (Korea Research Institute of Ships & Ocean Engineering)
  • 윤종휘(한국해양대학교 해양경찰학과 교수) | Jong-Hwui Yun (Dept. of Coast Guard Studies, Korea Maritime & Ocean University)
  • 김태형(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 Tae-Hyung Kim (Graduate School, Korea Maritime & Ocean University)
  • 장하용(한국항만연수원) | Ha-Lyong Jang (Korea Port Training Institute)
  • 하민재(전남대학교 해양경찰학과(비전임교원)) | Min-Jae Ha (Dept. of Coast Guard Studies, Chonnam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