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국내 어린이 중심 과학전시 현황 파악 및 발전방향 모색 KCI 등재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Quo of Children’s Science Exhibits and Exploring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in Children’s Science Museum Exhibi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3908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9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본 연구는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과학전시관의 현황을 파악하고 어린이 과학관에서의 교육효과를 높이기 위한 전시 공간연출의 개선방향을 제안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어린이과학관 전시물과 전시공간을 전시내용에 따라 크게 3가지 주제로 분류하고, 전시매체와 전시공간을 분석하는 분석틀을 개발하였다. 연구 대상은 국내 어린이를 대상 으로 한 전시관 총 7곳을 목적 표집하여 선정하고, 촬영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틀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신 체’와 ‘주변 사물’, ‘자연 현상’을 전시 내용으로 한 전시현황을 분석했을 때, 어린이의 발달수준에 맞지 않는 어려운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시매체 측면에서는 설명적 매체와 관찰형 매체가 주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한 전시공간 측면에서는 설치물요소와 색상요소에 의존하는 경향이 높으며, 전시 주제에 따른 동선의 흐름이 대체적으 로 전시 내용 전체 스토리를 유추하기 어렵다고 할 수 있겠다. 이를 개선하고 어린이 과학관에서의 교육효과를 높이기 위해 전시 연출의 기획단계에서부터 관련 전문가들의 협업을 통해 전반적인 진행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study aim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in presenting the exhibition space by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quo of children’s science exhibitions in order to enhance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Children’s Science Museum. For this purpose, the children’s science museum exhibition and exhibition space were categorized into three themes largely according to the exhibition contents, and an analysis framework was developed to analyze exhibition media and exhibition space. For the research subjects, we selected 7 exhibition halls targeted at children in Korea, collected data via video-taping, and analyzed based on the framework of analysis. When analyzing the display situation in which the exhibits have the contents of ‘body’, ‘peripheral things’, and ‘natural phenomena’, we found that the exhibits are composed of too difficult contents to understand, which do not fit the children's developmental level, and the major media used are observational and explaining media. Additionally, concerning the exhibition space, there is a tendency to rely on the installation elements and color effect. It is also difficult to deduce the contents of the exhibits and the entire story. We suggest that the entire exhibition planning be carefully made from the beginning to improve the current status and enhance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the Children’s Science Museum with the help of experts.

목차
Abstract
 요 약
 서 론
 연구 방법
 연구 결과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
  • 정다혜(Exhibition & Education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22689, Korea) | Da-Hye Jeong 교신저자
  • 박영신(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Chosun University, Gwangju 61452, Korea) | Young-Shin P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