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황해남동니질대와 제주남서니질대 표층퇴적물의 중광물 특성 비교 연구 KCI 등재

Characteristics of Heavy Minerals in the South East Yellow Sea Mud (SEYSM) and South West Cheju Island Mud (SWCI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3914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광물과 암석 (Korean Journal of Mineralogy and Petrology)
한국광물학회 (The Mineralogical Society Off Korea)
초록

조립질 퇴적물의 근원지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유용 광물자원으로서의 가치를 지 니는 황해남동니질대와 제주남서니질대 표층퇴적물 내 중광물의 특성을 비교 연구하였다. 두 지역에 서 각각 28개씩 시료를 선정하여 중광물을 분리한 후 실체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 관찰, 에너지 분 산형 분광분석과 전자현미분석을 실시하였다. 각섬석과 녹염석은 연구지역에서 주된 중광물로서 두 광물의 합계 함량이 70% 이상을 점유한다. 저어콘과 스핀은 황해남동니질대에서, 인회석과 금홍석은 제주남서니질대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함량을 나타내며, 모나자이트는 황해남동니질대 일부 지역에서 만 산출된다. 스핀과 모나자이트 함량은 황해남동니질대 북부에서 남부로 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 여준다. 황해남동니질대는 낮은 석류석-저어콘 지수와 금홍석-저어콘 지수를 가지는데 반하여, 제주남 서니질대는 높은 석류석-저어콘 지수와 금홍석-저어콘 지수를 가진다. 각섬석의 경우 황해남동니질대 는 대부분 보통각섬석에 해당되지만, 제주남서니질대는 파가사이트, 처마카이트, 보통각섬석, 투각섬 석 등 다양한 조성을 가진다. 황해남동니질대 지역의 석류석은 높은 Mg와 낮은 Ca 함량을, 제주남서 니질대 지역 석류석은 낮은 Mg와 다양한 Ca 함량을 가진다. 이와 같이 두 지역의 중광물 특성이 서 로 다른 것은 두 지역의 퇴적물 기원지가 다르다는 것을 지시한다. 황해남동니질대의 퇴적물 기원지 는 인접한 한반도의 서해안으로 유입되는 하천 퇴적물인 것으로 여겨지나, 추후 황해로 유입되는 강 퇴적물과 해양 퇴적물에 대한 추가적인 중광물 연구가 진행되어야만 정확한 기원지와 퇴적과정에 대 한 해석을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Heavy mineral provide an important information for sediment provenance as well as a potential submarine mineral resources. We compared the heavy mineral characteristics between Southeastern Yellow Sea Mud (SEYSM) and Southwestern Cheju Island Mud (SWCIM) surface sediments. We separated heavy minerals from 28 surface sediments in each mudbelt, and then carried out stereo-microscopic, field-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energy dispersive spectroscopic and electron probe microanalysis to characterize the type, abundance, mineralogical properties and distribution pattern of heavy mineral. Amphibole and epidote, which are two major heavy minerals, account for more than 70% of total heavy minerals. Zircon and sphene contents are more abundant in SEYSM, whereas apatite and rutile contents are more abundant in SWCIM. Monazite only occurs in some area of SEYSM. Sphene and monazite content decrease to the south in SEYSM. Both garnet-zircon index (GZi) and rutile-zircon index (RuZi) are low in SEYSM but high in SWCIM. Amphiboles in SEYSM primarily correspond to hornblende, however those in SWCIM represent variable composition from pargasite, tshermakite, hornblende to tremolite. Garnets in SEYSM have high Mg and low Ca, but those in SWCIM have low Mg with variable Ca. Different heavy mineral characteristics between SEYSM and SWCIM suggests that sediments in each mudbelt have different provenances. Although this study implies that SEYSM sediment may mostly come from nearby Korean western rivers such as the Keum and Han rivers, this study does not suggest any idea of the source area of SWCIM sediment. Further study is needed to interpret the provenance and transportation mechanism of mudbelt sediments through the heavy mineral research for the river sediments flowing into the Yellow Sea and much more marine sediments.

목차
서 론
 연구 재료 및 방법
 결 과
 토 론
  중광물 분포
  중광물 지수
  중광물의 광물화학
 결 론
 사 사
 REFERENCES
저자
  • 구효진(경상대학교 지질과학과 및 기초과학연구소, Department of Geology and Research Institute of Natural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Hyo Jin Koo
  • 조현구(경상대학교 지질과학과 및 기초과학연구소, Department of Geology and Research Institute of Natural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Hyen Goo Cho Corresponding author
  • 이부영(경상대학교 지질과학과 및 기초과학연구소, Department of Geology and Research Institute of Natural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Bu Yeong Lee
  • 이희일(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저환경자원연구본부, Marine Geology and Geophysics,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and Technology) | Hi Il Y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