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곰소만·근소만 갯벌어장 관리를 위한 퇴적물-해수 경계면에서 영양염 플럭스 추정 KCI 등재

Estimating Benthic Nutrient Fluxes at the Sediment-Water Interface for the Management of Tidal Flats in Gomso and Geunso Bay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3929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해양환경안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and Safety)
해양환경안전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초록

수층으로 용출되는 질소(N)와 인(P)의 영양염 플럭스는 1차 생산성에 대한 총 영양요구량의 상당 부분을 지원할 수 있기 때문 에 퇴적물-해수 환경의 상호작용을 파악하는 것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곰소만·근소만의 환경 일반항목들과 퇴적물-해수 경계면에서 저서 영양염 용출 플럭스를 분석 및 추정하였다. 또한 이전에 보고된 영양염 플럭스의 데이터를 비교하여 지역적인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근소만 법산에서 봄철 영양염 용출 플럭스가 DIN 6.14 mmol m-2 d-1, DIP 0.32 mmol m-2 d-1로 조사정점 중 가장 높게 나타났 다. 퇴적물 COD의 경우 법산의 사계절 값이 4.0~10.8 mg/g·dry로 나타나 유기물 오염에 의한 환경 악화가 진행되고 있었다. 앞으로 갯벌어 장 관리에 대한 방안이 마련되지 않는다면 양식생물의 생산량 감소의 문제가 발생될 것이다. 따라서 생물자원의 지속적인 이용을 위해 갯벌 환경의 장기적인 모니터링이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interactions in the sediment-water environment because nitrate (N) and phosphorus (P) nutrient fluxes released into overlying water can represent a significant fraction of the total nutrient requirement for primary productivity. In this study, we analyzed and estimated benthic nutrient fluxes at the sediment-water interface, investigating environmental conditions in Gomso and Geunso Bays. Also, we compared previously reported nutrient flux data to identify regional differences. As a result, benthic nutrient fluxes in Beopsan were DIN: 6.14 mmol m-2 d-1 and DIP: 0.32 mmol m-2 d-1 higher than other survey sites. Sediment COD were 4.0-10.8 mg/g·dry, and environmental deterioration was observed due to organic pollution. If no solution is found for tidal flat farm management, problems such as a decrease in aquaculture production will follow. Therefore, long-term monitoring of tidal flat environments should be pursued to enable the sustainable use of biological resources.

목차
1. 서 론
 2. 재료 및 방법
  2.1 연구지역
  2.2 조사방법
  2.3 저서 영양염 용출 플럭스
 3. 결과 및 고찰
  3.1 연구지역의 해수 및 퇴적물 환경
  3.2 영양염 플럭스의 수직적 변화
  3.3 영양염 플럭스의 계절적 변화
   3.4 서해안과 남해안의 영양염 용출 플럭스 데이터 비교
 4. 결 론
 References
저자
  • 전승렬(국립수산과학원 갯벌연구센터, Tidal Flat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 | Seung Ryul Jeon
  • 조윤식(국립수산과학원 갯벌연구센터, Tidal Flat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 | Yoon-Sik Cho Corresponding Author
  • 최윤석(국립수산과학원 갯벌연구센터, Tidal Flat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 | Yoon-Seok Choi
  • 김경태(국립환경과학원 환경건강연구부, Environmental Health Research Department,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Kyung-Tae Kim
  • 최용현(국립수산과학원 갯벌연구센터, Tidal Flat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 | Yong-Hyeon Ch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