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MR Perfusion이 MR Spectroscopy에 미치는 영향과 유용성에 관한 고찰 KCI 등재

A Study on the Usefulness and Effect of MR Perfusion on MR Spectroscop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070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R Technology (대한자기공명기술학회지)
대한자기공명기술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R Technology)
초록

서 론 :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생체(in vivo) 자기공명분광은 침습적으로 생검을 시행하지 않고 인체내의 여러 가지 대사산물들을 식별하고 정량 분석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질병부위의 물질대사 변화를 토대로 진단에 도움을 주고 질병의 치료효과를 평가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자기공명분광으로 확인 가능한 대사물질로는 지방, 세포막 지질, 고에너지 인산염(phosphate), 글리코겐(glycogen), 아미노산(aspartate, glycine, etc), 신경전달물질(neurotransmitters, GABA, Glutamate, Glutamine, etc), TCA회로의 대사물질, 또는 인공적으로 합성한 불소화합물들도 대상이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지금까지 MR Perfusion이 acute infarction에 유용한 검사로 인식되어 졌지만 종양에 의해 혈관관문(blood brain barrier)이 붕괴된 환자에 대한 MR Perfusion검사는 rCBF & rCBV에 영향을 주어 primary lesion site 진단에 적절한 유용성이 있을 것이라는 전제로 MR Perfusion이 MR Spectroscopy에 미치는 영향과 유용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14년 3월 1일부터 동년 11월 30일까지 Brain Tumor환자 15명(male 6/female 9)을 대상으로 MR Perfusion과 MR Spectroscopy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자기공명기기는 3.0T(Magnetom Verio, Siemens, Germany)를 사용하였으며 Protocol은 T2/SAG, T2/COR, T2/AXL, csi/se-135, svs/se-135, Perfusion 순서로 시행하였다. measurement는 MR Perfusion검사의 rCBF와 rCBV에서 flow와 volume이 증가한 부위와 flow와 volume이 증가되지 않은 주변조직을 측정하여 Choline Peak치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 MR Perfusion검사의 rCBF와 rCBV에서 flow와 volume이 증가된 부위의 Choline Peak치가 현저하게 상승하였으며 rCBF와 rCBV에서 증가되지 않은 조직에서는 상대적으로 NAA가 높은 정상적인 자기공명 스펙트럼의 측정 결과를 보였다.
결 론 : 본 연구의 결과로 볼 때 MR Perfusion이 MR Spectroscopy 검사에 정확성을 높여줄 수 있다는 긍정적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MR Perfusion은 acute infarction에 유용한 검사로 인식되어졌지만 종양에 의해 혈관 관문(blood brain barrier)이 붕괴된 환자의 MR Perfusion검사가 rCBF & rCBV에 영향을 주어 primary lesion site를 진단하는 데에도 적절한 유용성이 있다고 하겠다. 이는 MR Spectroscopy의 진단적 가치를 높여주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Brain neoplastic lesion을 판단하기 위해서 그리고 더 정확한 검사를 위해서 MR Perfusion과 MR Spectroscopy 검사를 병행할 것을 제안하며 향후 이를 바탕으로 조금 더 체계적인 연구가 되길 기대한다.

Introduction : MR Spectroscopy in vivo widely being used in the medical field is one way which can identify and quantitative analysis several metabolites in the body, conduct a biopsy noninvasively. It helps in diagnosis based on the metabolism change in the region of a disease. Also It has been successfully used in evaluating the therapeutic effects of the disease. There are some metabolites which can be checked through by using MR Spectroscopy; fat, cell membrane lipid, energy-rich phosphate, glycogen, amino acid(aspartate, glycine, etc), neurotransmitter(neurotransmitters, GABA, Glutamate, Glutamine, etc), metabolites of the citric acid cycle, or artificially synthetic fluorine compounds. Hereat we studied the usefulnees and effect of MR perfusion on MR spectroscopy.
Subjects and methods : MR perfusion and MR spectroscopy for 15 patients with brain tumor(male 6/female 9) were implemented from March 1st, 2014 until November 30. The magnetic resonance machine, 3.0T(Magnetom Verio, Siemens, Germany) was used in this study and protocol was carried out in the order of T2/SAG, T2/COR, T2/AXL, csi/se-135, svs/se-135 and Perfusion. By measuring both growth part in flow and volume and surrounding tissue where is no growth of flow and volume, compared and analyzed the value of Choline peaks.
Result : Choline peaks of increase parts in flow and volume at rCBF and rCBV in MR perfusion examination significantly rose in value. A normal graph with a relatively high NAA in MR spectroscopy was showed in the surrounding tissue where is not increase at rCBF and rCBV.
Conclusion : we could draw a positive conclusion that MR perfusion can make progress in improving the accuracy in MR spectroscopy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MR perfusion has been regarded as a useful test for acute infraction. The restrictions do not stop there. It is also useful in diagnosing primary lesion site of patients whose blood brain barrier was collapsed by tumors because MR perfusion affects rCBF and rCBV. It means this increases the diagnostic value of MR spectroscopy. So to find brain neoplastic lesions and make more accurate examinations, we suggest that MR perfusion and MR spectroscopy go side by side. We expect study to be more methodical base on this study in the future.

목차
Ⅰ. 서 론
 Ⅱ. 대상 및 방법
  1. 기간 및 대상
  2. 사용기기
  3. 분석방법
 Ⅲ. 결 과
  1. 사례 1
  2. 사례 2
  3. 사례 3
 Ⅳ. 결론 및 고찰
 Ⅴ. References
저자
  • 박의철(대전성모병원, 가톨릭대학교) | Eui-cheol Park
  • 이현복(대전성모병원, 가톨릭대학교) | Hyeon-bok Lee
  • 유송우(대전성모병원, 가톨릭대학교) | Song-woo Yo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