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3D Gradient dual echo 2-point DIXON 기법을 이용한 MR 복부지방 용적 측정방법(Abdominal Adipose Volumetry)에 관한 정확성 평가 : CT를 이용한 복부지방용적 측정을 기준으로 하여 KCI 등재

Accuracy Evaluation of MR Abdominal Adipose Volumetry Using 3D Gradient Dual Echo 2-point DIXON Technique : Based on Abdominal Adipose Volumetry using C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071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200원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R Technology (대한자기공명기술학회지)
대한자기공명기술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R Technology)
초록

목 적 : 비만에 의한 대사성 질환들을 관리하고 예방하기 위해서 체내 지방의 정량적 분포를 정확하고 반복적으로 측정하는 것은 임상적, 연구적 목적으로 아주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CT를 이용한 복부지방용적 측정값을 표준으로 설정한 후, 3D Gradient dual echo 2-point DIXON 기법의 MR 영상으로 측정한 복부지방용적 및 그 분포 비율 측정방법의 유효성과 정확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건강한 남성지원자 17명을 대상으로 CT와 3D Gradient dual echo 2-point DIXON 기법을 적용한 MRI를 이용하여 복부의 체적영상을 각각 획득하였다. 획득한 영상으로부터 2명의 관찰자가 독립적으로 내장지방과 피하지방의 경계를 구분하고 Region based thresholding 방법을 이용하여 전체지방용적(TATV), 내장지방용적(VATV), 피하지방용적(SATV)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값으로부터 관찰자에 따른 상관관계와 일치도 검증은 Spearman과 ICC test를 이용하였고, 영상방법 간 상관관계와 일치도 검증은 단순회귀분석과 Bland-Altman plot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p < 0.05인 경우에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판정하였다.
결 과 : 관찰자에 따른 측정값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Spearman test 결과, CT와 MRI의 상관계수 R 값은 관찰자 1의 경우 TATV, VATV, SATV가 각각 0.995, 0.978, 0.968이고, 관찰자 2의 경우 0.968, 0.922, 0.956이었다. 관찰자에 따른 측정값은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관찰자 간 측정값의 일치도를 분석한 ICC test 결과, 관찰자 1, 2의 상관계수 R 값은 CT의 경우 TATV, VATV, SATV가 각각 0.990, 0.994, 0.983이고, MRI의 경우 0.978, 0.963, 0.987이었다. 관찰자 간 일치도는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하였다(p<0.05). 영상방법에 따른 측정값의 상관관계를 평가한 단순회귀분석결과, 관찰자 1의 경우 TATV, VATV, SATV의 상관계수 R:결정계수 R2 값은 각각 0.997:0.994, 0.992:0.985, 0.980:0.960이고, 관찰자 2의 경우 0.975:0.950, 0.952:0.905, 0.970:0.941이었다. 두 영상방법 간의 상관 관계는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하였다(p<0.05). Bland-Altman plot을 이용하여 두 영상 방법의 일치도 분석 결과, 관찰자 1, 2 모두에서 측정값의 차이는 거의 모든 대상자가 오차허용한계 범위(Mean ±1.96SD) 내에 있었다(p<0.05).
결 론 : 3D Gradient dual echo 2-point DIXON 기법을 이용한 MR 복부 지방용적측정 방법은 CT를 이용한 지방측정방법을 표준으로 비교하여서도 통계적으로 매우 강한 상관관계와 일치도를 보임에 따라 재현성과 정확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하여 최근 사회적으로 관심이 집중 되고 있는 비만이나 대사증후군과 같은 질환의 관리와 평가에 보다 유용하고 정확한 임상정보를 제공 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Purpose : To measure quantitative distribution of intra abdominal adipose accurately and repeatedly is very important for diagnosis and study to prevent and control metabolic disease by obesity. In this study, after setting the abdominal adipose volume measurement using CT as standard we examined the validity and accuracy of measured abdominal adipose volume and its distribution ratio measurement method using the MR images of the 3D Gradient dual echo 2-point DIXON technique.
Materials and methods : We obtained the volume images of abdomen from 17 healthy adult volunteers using CT and MRI applied 3D Gradient dual echo 2-point DIXON technique. Two observers respectively divide boundary between visceral and subcutaneous adipose from obtained images and measured TATV, VATV and SATV using Region based thresholding method. Correlation and agreement verification from measurement by observers is used Spearman and ICC test, verification in both CT and MRI method is verified by using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Bland-Altman plot. It’s statistically signified in case of p<0.05.
Result : Spearman test result analyzed correlation of measurement by observers, Both CT and MRI correlation coefficient R is 0.995, 0.978, 0.968 at TATV, VATV, SATV by observer 1, 0.968, 0.922, 0.956 by observers 2 respectively. Measurement by observers is statistically signified(p<0.05). ICC test result analyzed inter-observer agreement, Both observer 1 and 2 correlation coefficient R is 0.990, 0.994, 0.983 at TATV, VATV, SATV for CT and 0.978, 0.963, 0.987 for MRI respectively. Inter-observer agreement is statistically signified(p<0.05). Sim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 evaluated correlation of measurement by imaging method, Correlation coefficient R : R square is 0.997:0.994, 0.992:0.985, 0.980:0.960 by observer 1, 0.975:0.950, 0.952:0.905, 0.970:0.941 by observer 2. Both CT and MRI methods are statistically signified(p<0.05). Agreement analysis result of Both CT and MRI methods using Bland-Altman plot, the difference of measurement by observer 1, 2 is within limits of agreement(Mean±1.96SD) among almost subjects.
Conclusion : MR abdominal adipose volumetry using 3D Gradient dual echo 2-point DIXON technique shows very high agreement and strongly statistical correlation even compare to the standard of adipose measurement method using CT and able to verify reproducibility and accuracy. This method may offer a accurate clinical information and be more useful for diagnosis and evaluation such as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which is a disease of contemporary importance and concern.

목차
Ⅰ. 서 론
 Ⅱ. 대상 및 방법
  1. Study design & Volunteers
  2. CT & MR Imaging technique
  3. 지방용적의 측정 (Adipose tissue volumetry)
  4. Statistical Analysis
 Ⅲ. 결 과
  1.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징과 지방용적의 측정값
  2. 관찰자에 따른 측정값의 상관관계와 일치도 평가
  3. 영상획득 방법에 따른 측정값의 상관관계와 일치도 평가
 Ⅳ. 결론 및 고찰
 Ⅴ. References
저자
  • 강성진(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영상의학과) | Sung-Jin Kang
  • 조용근(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영상의학과) | Yong-Keun Cho
  • 윤재근(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영상의학과) | Jae-Keun Yoon
  • 김경준(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영상의학과) | Kyung-Jun Kim
  • 박태현(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영상의학과) | Tae-Hyen Park
  • 김영수(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영상의학과) | Yeong-Soo Kim
  • 유병헌(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영상의학과) | Byung-Heon Yo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