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충진복극 전기분해반응 공정에서의 T-N 처리 특성

Study on Treatment of T-N using Packed Bed Bipolar Electrolytic Reactor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3154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Korea Society Of Waste Management)
초록

국내 광공업 중 자동차 제조업, 금속가공제품 제조업 등 금속가공을 필요로 하는 사업체는 전체 광공업 사업체 163,822개 중 40%를 차지하고 있다. 산업혁명 이래 기계 산업은 빠르게 발전해왔으며 기계 산업이 발달한 현대사회에서 금속 가공 공정은 필수적이다. 이러한 금속 가공 과정에서 금속과 금속사이의 마찰을 줄이기 위한 윤활작용, 마찰로 인한 열팽창 및 변형을 막기 위한 냉각작용, 부식 방지를 위한 방청제 역할을 하는 것이 절삭유이다. 절삭유는 일반적으로 수용성과 비수용성으로 분류되며, 비수용성의 경우 작업 중 및 작업 후 발생하는 오일미스트로 인한 유독성 및 발화 위험 등의 문제가 제기됨에 따라 수용성 절삭유의 사용이 점차 증가하여, 국내 절삭유 사용량의 60% 이상을 수용성 절삭유가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수용성 절삭유에는 아질산염, 방부제 등 20~30개의 화학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수용성 절삭유에 함유되어있는 질소계 물질들은 수생태계에 방류되면 부영양화 및 녹조 현상과 같은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며, 수중에서 산화반응을 하여 아질산성 질소와 질산성 질소로 변화되면서 수계의 용존산소를 감소시켜 오염을 일으킬 수 있어 각별한 처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입상활성탄(Granular activated carbon)을 충진한 충진복극조를 이용해 전기화학적 처리를 통해 수용성 절삭유의 T-N 제거율을 분석하였다. 실험조건은 다음의 Table 1, 실험장치의 구성을 Fig. 1에 간단히 나타내었다.

저자
  • 이재용(경운대학교 보건바이오학과) | Jae-Yong Lee
  • 장성호(부산대학교 바이오환경에너지학과) | Seong-Ho Jang
  • 박진식(경운대학교 보건바이오학과) | Jin-Sik Park
  • 양승빈(부산대학교 바이오환경에너지학과) | Seung-Bin Yang
  • 김고은(부산대학교 바이오환경에너지학과) | Go-Eun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