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의 하천관리의 실질적인 자료를 얻고자 본류와 미호천의 30지소에서 수변식생지수를 이용하여 건강성평가와 다변량식생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금강본류와 미호천에서 출현한 식물군락은 54개이었고, 식물상은 75과 185속 243종 2아종 21변종 2품종 268분류군이었다. 수변식생지수는 평균 38.3(3.3;G-D1 ~ 66.7;G-U2, G-U4, G-M3)으로 이 지역의 하천의 건강성은 보통(C등급)으로 평가되었다. 하천의 건강성은 금강본류의 상류가 가장 높았고, 금강본류의 하류에서 가장 낮았다. 수변식생지수와 수질의 클로로필-a의 함량과의 관계는 관련성이 낮게 나타났다. 집락분석결과, 식생은 바랭이군락 그룹, 갯버들군락 그룹, 개망초군락 그룹, 환삼덩굴, 버드나무, 물억새 그리고 달뿌리풀 군락이 우점하는 그룹, 망초와 물피 군락이 우점하는 그룹 등의 5개 집단으로 나누어졌고, 지소들은 비슷한 건강상태를 갖는 것들끼리 가까이 나타났다. CCA분석결과, 식생의 분포에 영향을 주는 환경요인은 식생면적, 인공구조물 면적, 수로면적, 지점폭, 수로폭, 제방높이 등의 물리적인 조건과 생물학적 요인의 출현종수였다. 이상과 같이 하천의 건강성이 높은 지역은 모니터링을 통하여 하천 식생의 지속적인 유지관리가 필요하고 건강성이 낮은 지역은 생태복원과 같은 적극적인 시행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conducted health assessment and multivariate vegetation analysis using the riparian vegetation index in 30 sites of the Geumgang mainstream and Mihocheon to obtain practical data on the river management of the Geumgang. The result showed that the number of plant communities was 54. The flora was 75 families, 185 genera, 243 species, 2 subspecies, 21 varieties, 2 varieties, and 268 taxa. The riparian vegetation index was 38.3 (3.3; G-D1 ~ 66.7; G-U2, G-U4, and G-M3), and the health of the rivers in this area was evaluated as normal (grade C). The health of rivers was the highest in the upper stream of Geumgang mainstream and lowest in the downstream of Geumgang mainstream. The relationship between riparian vegetation index and chlorophyll-a content was low. The riparian vegetation was divided into five groups of Digitaria ciliaris colony group, Salix gracilistyla colony group, Erigeron annuus colony group, the group dominated by Humulus japonicus, Salix koreensis, Miscanthus sacchariflorus, and Phragmites japonica colonies, and the group dominated by Conyza canadensis and Echinochloa crusgalli var. echinata colonies. They had the similar health conditions. The CCA analysis showed that the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the distribution of vegetation were physical factors such as vegetation area, artificial structure area, waterway area, branch width, channel width, and bank height and the biological factors such as the number of species. As such, it is necessary to maintain the health condition through continuous monitoring where the health condition is high and to apply active measures such as ecological restoration where the health condition is l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