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굴다리 환경개선 사례를 통한 공공디자인 평가지표 개발 KCI 등재

A Case Study of Underpass Improvement Projects in Busan in the Collective Aspect of Public Desig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5864
  • DOIhttps://doi.org/10.18555/kicpd.2018.52.2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Journal of Cultural Product & Design)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Korean Institute of Cultural Product Art & Design)
초록

생활의 공간적 토대로서 도시의 기능이 원활하고, 의미 있는 장소로서 아름답고 매력적인 공간으로 만들고 싶다면, 무엇보다도 도시공간의 전 과정이 유기적으로 작동되게 디자인되어야 한다. 굴다리는 도시공간의 부속물로서 도시의 이미지를 구성하고 기능성과 접근성을 나타내는 주요한 요소이며 생활의 터전으로서 활동공간의 역할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굴다리환경은 도시의 이미지가 직결되어있고, 시설물과 가로환경의 그 기능을 다 할 때 쾌적한 도시환경으로서 디자인된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는 이점에 착안하여 공공디자인의 개념과 공공성을 살펴보고 쾌적한 굴다리 환경조성을 위한 디자인적용의 평가지표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부산광역시 굴다리 환경개선 사례와 대표적인 유형 그리고 디자인 적용 부분 현황분석을 통하여 공공디자인 평가지표를 개발하였다. 이는 굴다리 개선사업 사전계획에 있어, 사업의 방향과 목적을 정확히 파악하고 공공 공간 및 공공 시설물에 대한 세부지표에 부합되도록 계획·설계·디자인된다면 쾌적한 굴다리 환경조성으로 도시브랜드의 가치를 높이는 지속가능한 사업으로 진행될 것으로 생각된다.

As the spatial foundation of day to day life, the city must function seamlessly as a place with meaning. To make a beautiful and compelling space, the entire process of the city space, more than anything, must be designed to work organically. As a supplementary part of the city's space, an underpass adds to the image of the city by representing functionality and connectivity within the city and operates as a space supporting functional livelihoods. In this aspect,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an underpass enhances the qualitative assessment of the city and when functioning as a corrective infrastructure and landscape environment, the underpass has been designed as a complement to the city's environment. This study has observed the advantages of spatial design and its concept and public nature and suggests an index of evaluation as a guideline for the application of design within an underpass. By being a part of the planning for underpass improvement services, this study analyzes the industry's direction and purpose and corresponds with a detailed index of public space and infrastructure. If It is believed to be a sustainable improvement project that will raise the value of the city brand.

목차
1. 서론
 2. 공공디자인의 정의 및 개념
 3. 굴다리 현황분석
 4. 유형별 사례분석
 5. 공공디자인 평가지표 개발
 6. 결론 및 고찰
 REFERENCES
저자
  • 이진호(동서대학교 디자인대학) | Lee, Jin 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