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UPLC를 이용한 남해 진주만 식물플랑크톤 군집 변동특성 연구 KCI 등재

A Study of Variation Characteristics of the Phytoplankton Community by UPLC Located in the Jinju Bay,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588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한국환경생물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Biology)
초록

진주만 해역에서의 식물플랑크톤 시공간적 군집 분포와 이를 조절하는 환경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물리, 화학적인 환경조사와 더불어 UPLC-CHEMTAX program을 이용한 식물플랑크톤 군집특성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해역에서의 Chlorophyll a 농도는 평균 1.84 μg L-1 (0.13~9.03 μg L-1)로 얕은 수심과 조석의 혼합이 활발한 본 연구해역에서 겨울철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해역에서 나타난 주요 식물플랑크톤 군집 중 규조류가 연구기간 동안 평균 77.1%로 대부분 우점하였으나, 하계 (6월, 7월, 8월) 은편모류 (7.7~18.8%), 담녹조류 (7.8~17.3%), 와편모류 (4.9~13.9%)의 분포비율을 나타내었다. 특히 은편모류와 담녹조류는 현미경으로 검경하기 어려운 군집이며, 동기간 보고된 현미경 관찰결과에도 나타나지 않아 향후 이들 군집에 대한 면밀한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UPLC 활용하여 진주만 어장 생태계의 기초 생산자이자 먹이원으로 작용하는 식물플랑크톤의 생물량 및 시공간적 변동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현미경 검경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은편모류와 담녹조류 군집이 하계에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을 나타내는 것을 UPLC로 확인할 수 있었고, 이러한 결과는 향후 1차 생산에 관여하는 식물플랑크톤의 계절 변화의 기초정보로 유용하게 이용될 것이다.

In order to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for the efficient management of the identified farm ecosystem in Jinju Bay, we investigated the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 of the phytoplankton community using a UPLC pigment analysis and a CHEMTAX program from the timeframe of February 2013 to January 2014. In addition, we measured the available physical and chemical parameters 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phytoplankton communities. As a result of this comprehensive pigment analysis, it was noted that the Diatoms were the predominant species with an average of 77.1% as noted located in Jinju Bay. It was discovered that during the summer season, the phytoplankton community composition was changed by a reduction of diatoms and noted increases of the Cryptophytes, Prasinophytes, and Dinoflagellates. Especially, it was noted that the Cryptophytes and Prasinophytes were shown with an average of 18.8% and 17.8% in June, respectively. However, it was revealed that the Cryptophytes and Prasinophytes were not shown by a microscopic observation. The phytoplankton community composition was correlated with the temperature and salinity variations as noticed in the Jinju Bay. Therefore, the water temperature and freshwater inputs in the Jinju Bay were important environmental factors for controlling the phytoplankton community composition and the varying Cryptophytes and the noted amounts of Prasinophytes as well.

목차
Abstract
 서 론
 재료 및 방 법
  1. 연구지역 및 해양환경요인 조사
  2. 식물플랑크톤 색소 분석
  3. CHEMTAX Program
  4. 통계분석
 결과 및 고 찰
  1. 환경요인
  2. 식물플랑크톤 변동 특성
  3. 주요 식물플랑크톤 군집과 환경요인과의 관계
 적 요
 REFERENCES
저자
  • 이유진(국립수산과학원 남해수산연구소) | Eugene Lee
  • 손문호(국립수산과학원 남해수산연구소) | Moonho Son Corresponding author
  • 김정배(국립수산과학원 어장환경과) | Jeong Bea Kim
  • 전가은(국립수산과학원 어장환경과) | Ga Eun Jeon
  • 이원찬(국립수산과학원 남해수산연구소) | Won Chan Lee
  • 이상헌(부산대학교 해양학과) | Sang Heon 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