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소셜미디어 분석을 통한 소비자들의 L-글루타민산나트륨에 대한 인식 조사 KCI 등재

Consumers Perceptions on Monosodium L-glutamate in Social Medi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625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600원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Korean Society of Food Hygiene and Safety)
초록

본 연구에서는 소셜미디어 콘텐츠를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이용하거나 정성적으로 분석함으로써 L-글루타민산나트륨에 대한 소비자 인식도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첫 번째로, 1년 (2013.7~2014.6)의 기간 동안 네이버와 카페에서 작성된 글들을 수집하였으며, 수집한 문서들을 무료 텍스트 분석 소프트웨어인 TONK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블로그와 카페에서 작성된 글들은 주로 L-글루타민산나트륨의 사용과 관련된 음식점 후기 및 MSG (L-글루타민산나트륨)-무첨가 제품에 대한 홍보 내용을 담은 글들로 파악되었으며, 기타 L-글루타민산나트륨의 안전성 또는 식품첨가물 제거법에 대한 내용으로 파악되었다. 두 번째로, 네이버 트렌드 검색 서비스를 이용하여 L-글루타민산나트륨에 대한 검색량 증가 구간에 발생한 언론보도 사건을 조사하였다. PC 검색량의 경우 총 5개 증가 구간 중 3개의 구간에서, 모바일 검색량의 총 9개 증가 구간 중 6개의 구간에서 시사 프로그램에서 L-글루타민산나트륨에 대해 보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구간에서는 일간지나 TV 뉴스로 기사를 보도한 구간들로 나타났다. 세 번째로 식품의약품안전처의 L-글루타민산나트륨의 안전성 발표를 보도한 연합뉴스의 댓글을 분석하였다. 공감수 100개 이상인 댓글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L-글루타민산나트륨의 안전성, 질 낮은 재료의 사용 지적, MSG (L-글루타민산나트륨) 과다사용에 대한 우려, 정부 불신을 표현하는 댓글들이 파악되었다. 시판 제품들의 표시사항을 분석한 결과, 일일섭취허용량을 설정할 필요가 없을 정도로 안전한 식품첨가물임에도 불구하고 L-글루타민산나트륨을 첨가하지 않은 제품들은 L-글루타민산나트륨 무첨가라는 표시를 강조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국가기관, 교육청과 지방자치단체에서 MSG 미사용을 원칙으로 제도를 운용하고 있어 이러한 정책이 산업계와 소비자 인식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도 고려해볼 수 있다. 본 연구 결과 소비자들은 대체로 소셜 미디어를 이용하여 검색하거나 관련 제품을 구매하고자 할 때 L-글루타민산나트륨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는 인식을 하게 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며, L-글루타민산나트륨의 과다 사용에 관심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V 시사 프로그램에서 방송하거나 일간지 또는 TV 뉴스에서 기사를 보도할 경우 네이버 검색량이 증가하였으며, 검색량 증가구간은 PC 환경에서보다는 모바일 환경에서 더욱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L-글루타민산나트륨과 관련한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소비자들이 관심있어 하는 방송프로그램, 뉴스 프로그램 등 언론을 활용하고, PC보다는 모바일을 통하여 소비자에게 접근한다면 효과적으로 소비자에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onsumers’ perceptions on monosodium L-glutamate (MSG) in social media. Data were collected from Naver blogs and Naver web communities (Korean representative portal web-site), and media reports including comment sections on a Yonhap news website (Korean largest news agency). The results from Naver blogs and Naver web communities showed that it was primarily mentioned MSG-use restaurant reviews, ‘MSG-no added’ products, its safety, and methods of reducing MSG in food. When TV shows on current affairs, newspaper, or TV news reported uses and side effects of MSG, search volume for MSG has increased in both PC and mobile search engines. Search volume has increased especially when TV shows on current affairs reported it. There are more periods with increased search volume for Mobile than PC. Also, it was mainly commented about safety of MSG, criticism of low-quality foods, abuse of MSG, and distrust of government below the news on the Yonhap news site. The label of MSG-no added products in market emphasized “MSG-free” even though it is allocated as an acceptable daily intake (ADI) not-specified by the Joint FAO/WHO Expert Committee on Food Additives (JECFA). When consumers search for MSG (monosodium L-glutamate) or purchase food on market, they might perceive that ‘MSG-no added’ products are better. Competent authorities, offices of education and local government provide guidelines based on no added MSG principle and these policies might affect consumers’ perceptions. TV program or news program could be a powerful and effective consumer communication channel about MSG through Mobile rather than PC. Therefore media including TV should report item on monosodium L-glutamate with responsibility and information based on scientific background for consumers to get reliable information.

목차
Materials and Methods
  소셜미디어 콘텐츠의 텍스트 분석
  L-글루타민산나트륨 검색량 조사 및 관련보도 분석
  연합뉴스 댓글 수집 및 주제 분류에 따른 인식 조사
  제품 표시사항 시장조사
 Results and Discussion
  소셜미디어 콘텐츠의 텍스트 분석
  L-글루타민산나트륨 검색량 조사 및 관련보도 분석
  연합뉴스 댓글 수집 및 주제 분류에 따른 인식 조사
  제품 표시사항 시장조사
 국문요약
 References
저자
  • 문일철(KAIST 산업및시스템공학과) | Il-Chul Moon
  • 이원성(KAIST 산업및시스템공학과) | Wonsung Lee
  • 권훈정(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Hoonjeong Kwon Correspondence to
  • 이수연(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Sooyeon 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