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식품접객업소 등에서 사용되는 94건의 물수건(위생처리업소 39건, 식품접객업소 55건)에 대하여 위생 지표세균, 중금속, 염소부산물 등에 대한 안전성을 조사하였다. 중금속 안전성 조사결과 납은 불검출 ~ 0.41 mg/kg(불검출 75건), 비소는 불검출 ~ 0.25 mg/kg(불검출 93건), 카드뮴은 불검출 ~ 0.01 mg/kg(정량한계 미만 7건, 불검출 87건), 수은은 0.003 mg/kg ~ 0.09 mg/kg, 6가크롬은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이 중 납의 검출량이 가장 많았으나, 가장 높은 검출량인 0.41 mg/kg조차 납 규격기준(20 mg/kg 이하)의 2.1%로 매우 낮은 수준이었다. 미생물 안전성의 경우 대장균은 모든 시료에서 음성이었으며, 일반 세균수는 43건 양성이고, 그 중 24건은 규격기준을 초과 하였다. 물수건의 포장상태는 세균의 오염 및 물수건 간의 교차오염에 큰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포장에 따른 미생물 오염 비교결과는 덕용포장이고 개봉포장일 때 세균의 오염이 가장 높았다. 수거 시 위생물 수건의 수분함량과 미생물의 상관관계를 확인해본 결과 유의성은 없었으며, 각 시료별 수분함량은 50.0% ~ 77.0%(평균 61.9%)이었다. 물수건 소독에 사용되는 염소화합물 로부터 유래되는 염소부산물(클로라이트, 클로레이트)은 88건 중 17건(19.3%)에서 검출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물수건의 제조업 및 식품접객업 종사자의 교육 및 안전관리 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risks of sanitary indicative bacteria, heavy metals and chlorinated derivatives in 94 cases of sanitary wet towels used in food services (39 from sanitary wet towel treatment business, 55 from food services) were assessed in the present study. Lead was detected in the range of N.D.~0.41 mg/kg (75 cases were not detected), N.D.~0.25 mg/kg of arsenic (93 cases were not detected), N.D.~0.01 mg/kg of cadmium (7 cases were lower than limit of quantitation; 87 cases were not detected), 0.003 mg/kg ~ 0.09 mg/kg of mercury. And chromium (VI) was not detected from all samples. The level of lead was the highest among the tested heavy metals, and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lead was 0.41 mg/kg. However, it was only 2.1% of legal limit (less than 20 mg/kg). The average moisture content of the samples was 61.9% (50.0% ~ 77.0%) and it showed no relevance to the detection of bacterial counts. Escherichia coli was not detected. Bacterial counts were detected 43 cases and among them, 24 cases were exceeded the legal limit. It was verified that the packaging conditions of sanitary wet towel (whether it is packed by a piece or not and sealed or not) are critical factors to cause the germ contamination and cross contamination in the wet towels. The chlorinated derivatives (chlorites and chlorates) were detected in 17 (19.3%) out of 88 cases. The results would be used as preliminary information to establish the programs of “Safety education for manufacturers and public policy of safety”.